"지진 유발 위험" 포항 해상 CO2 저장시설 연내 철거

입력 2023-01-30 17:50:24 수정 2023-02-01 10:10:49

美 학계 등서 우려 주장 제기…지역 주민 폐쇄 요구 빗발쳐
市 "작은 여지도 남겨선 안돼"…해체 후도 누출여부 모니터링

포항시청 전경. 매일신문DB
포항시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 포항 앞바다에 설치돼 있던 이산화탄소 저장 시험시설이 올해 내 철거될 전망이다.

제철소나 발전소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액체화시켜 저장하는 방법을 실험하는 실증사업 시설이지만, 지난 2017년 지진 발생 이후 해당 시설이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는 학계 발표가 이어지며 지역에서 철거 요구가 빗발쳤기 때문이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는 포항수협에서 어민 및 주민들을 대상으로 '포항 해상 CCS(Carbon Capture &Storage) 플랜트' 철거에 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해당 시설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액체화시킨 뒤 지하에 저장하는 기술을 적용해보는 실증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16년 183억6천만원을 투입해 포항 영일만 앞 해상에 설치됐다.

지난 2016년 1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보령화력발전소 등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 100t이 주입됐으며, 향후 2019년까지 2만여t이 추가 주입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2017년 11월 포항 지진이 발생하고 안정성 등을 이유로 추가 주입은 이뤄지지 않았으며, 기존에 주입된 100t에 대한 누출 여부 등 모니터링 작업만 수행돼 왔다.

특히 미국립과학원회보 등에 'CCS가 지진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포항지역에서 철거를 희망하는 국민청원을 제기하는 등 반대여론에 부딪히기도 했다.

산자부는 이날 주민설명회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액체화 작업이 이미 성공적으로 이뤄졌고 더 이상 실증사업을 지속하기에 공감대를 형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올해 말까지 17억3천700만원을 들여 해체 철거작업 계획을 밝혔다.

철거 작업은 CCS 실증사업을 함께 추진했던 업체들이 주축으로 참여하며, 철거 이후에도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가 이산화탄소 누출 여부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정부에서 현재까지 CCS에서 이산화탄소 유출 사례가 관측되지 않는 등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발표했지만, 이미 한차례 강진을 겪은 포항으로서는 만에 하나의 가능성도 남겨둘 수 없다는 여론이 많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