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고용률, 가계 이끄는 40대만 감소…"경기 침체 주원인"

입력 2023-01-30 10:14:19 수정 2023-01-30 10:19:08

구조조정 바람에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45.6%

2022 관광산업 일자리박람회. 연합뉴스
2022 관광산업 일자리박람회. 연합뉴스

최근 5년 간 전 세대에서 고용률 감소세를 보인 건 40대였다. 40대 비중이 가장 높은 소매, 제조업, 교육서비스업, 건설업의 침체가 일자리를 축소의 주원인으로 지목됐다.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2017~2022년 세대별 고용지표 추이'를 분석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전 연령에서 유일하게 40대의 고용률이 하락했다.

이 기간 15세~29세는 4.5%포인트(p), 30세~39세 2.0%p, 50세~60세 1.8%p, 60세 이상은 4.6%p 각각 고용률이 상승했다. 하지만 40세~49세는 1.3%p 감소했다.

업종별 40대 취업자 감소 추이를 살펴보면 도소매업(21만2천명), 제조업(10만4천명), 숙박·음식업(9만3천명), 교육서비스업(8만2천명), 건설업(7만4천명) 등 순이었다.

전경련은 "5년간 136만4천명의 취업자가 늘었지만, 40대 취업자는 46만9천명이 감소했다"며 "40대의 56.0%가 가정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이다 보니, 가계소득 감소와 소비지출 위축, 내수 악화 등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지난해 금융·건설·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서 40대의 비자발적 퇴직자(17만7천명)는 전체 퇴직자의 45.6%에 달했다. 2017년 16만7천명보다 6.0% 증가한 수치다. 특히 지난 2017년보다 7.1%p 증가했다. 비자발적 퇴직자는 휴·폐업, 명예·조기퇴직이나 정리해고 등의 사유로 퇴직한 이를 일컫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서도 지난 2021년 기준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77.3%에 불과했다. OECD 38개국 중 31위로 평균(82.5%)보다 5.2%p 낮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구조조정 바람과 고용 경직성이 높은 한국 노동시장에서는 중장년층 재취업이 매우 어렵다"며 "세제지원 강화와 규제 완화 등 일자리 관련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