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문학관, 코로나19 전까지 매년 11만명 관람객 방문
현재 좁은 공간 한계 보완할 제2대구문학관 건립 필요도
박물관, 미술관 기능할 수 있도록 문학관 질도 높여야
'대구문학관'의 역할 강화와 기존 건물의 공간 협소 등을 해소하기 위해 '제2대구문학관'이 설립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24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문학관은 2014년에 건립돼 연간 5억여원의 예산이 투입돼 기획 및 특별 전시를 해오고 있다. 지난해는 김춘수 시인 탄생 100주년을 맞아 '김춘수와 그 제자들' 전시와 '김춘수, 대구의 기억'이라는 토크 콘서트를 진행했다.
코로나19 전까지는 매년 관람객이 늘어나는 등 큰 인기도 끌었다. 대구문학관 관람객 추이는 2014년 설립 당시 1만2천170명에서 2015년 10만1천406명으로 크게 늘었고, 2019년 11만5천917명까지 기록했다. 코로나19로 2020년부터 문학관 폐관, 외국인 관람객 및 관람 인원 제한으로 연간 관람객수는 2만 명선으로 다시 줄었다 지난해 4만2천명으로 늘었다.
올해도 근현대 문인들의 발자취를 따라 가보는 프로그램인 '대구문학로드'의 투어 코스 확대 운영 등을 계획하는 등 대구문학관의 콘텐츠가 한층 풍성해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문학계에서는 제2대구문학관 건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 출신의 다양한 문인의 이야기를 담고 소개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대구문학관의 경우 향촌문화관과 같은 건물을 사용하고 있어 공간 협소가 항상 걸림돌이다.
이위발 대구경북작가 지회장은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한국 문학관을 모든 지자체에서 다 짓고 있다. 문학관 자체도 추후에 지역에 1, 2곳 생기는 것으로 흐름이 흘러갈 것이다"며 "문학관은 여러 콘텐츠를 담을 수 있어야 한다. 소설, 희곡, 수필 등을 다양하게 담아 관람객들이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가치를 가져갈 수 있어야 한다. 대구문학관에 많은 사람이 찾아오지만 지름 위치적으로 접근성이 떨어진다. 늘어나는 관람객 수요에 맞춰 제2문학관 건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대구문학관 자체의 질을 높여야한다는 주장도 있다. 고인이 된 문인들을 기리는 것을 넘어 미술, 전시 등을 연계할 수 있는 공간으로의 탈바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역 문학계 한 관계자는 "문학관은 방문한 시민들이 '문학은 고리타분한 게 아니라 좋은 것이구나'라고 생각하게끔 만들어주는 곳이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문학관이 박물관이나 미술관 같은 기능도 갖춰야 한다. 고인이 된 옛 작가를 위한 공간을 넘어 현 시대에 맞춰 좀 더 생동감 있는 공간으로의 탈바꿈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