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과 경찰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를 받는 민주노총 관계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8시간만에 완료했다.
국가정보원과 경찰청은 18일 오전부터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을 포함해 10여 곳에 수사관을 보내 수사 자료를 확보, 이날 저녁 8시 15분쯤 압수수색을 마무리했다.
국정원은 민주노총 본부 국장급 간부 A씨 등에 대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와 관련해 지난 16일 법원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이날 집행했다.
압수수색 대상 피의자는 4명으로, A씨를 비롯해 민주노총 산하 보건의료노조 간부 B씨,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소속 전 간부 C씨, 세월호제주기억관 운영자(민주노총 산별노조 전 간부) D씨로 파악됐다.
공안당국은 A씨가 2017년과 2019년 캄보디아 프놈펜과 베트남 하노이 등에서 북한 문화교류국 소속 공작원과 회합한 정황을 파악하고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채널A에 따르면 검찰은 이들이 북한의 지령을 받아 국내에서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와 광주 기아차 공장 등 3곳에 지하조직을 결성하고 반정부 활동을 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또 수사당국 관계자를 인용해 "A씨가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 간부와 전 금속노조 간부들을 북한 공작원에 소개해 준 것으로 보인다"며 "A씨는 베트남에서 귀국한 뒤 1만 달러를 환전해 공작금 수수 혐의도 받고 있다"고 채널A는 전했다.
국정원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수년 동안 내사를 해왔고, 북한과 연계된 혐의와 관련해 확보된 증거도 있었기 때문에 영장도 발부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공안당국은 지난해 11월부터 제주와 창원, 전주에서 북한과 연계된 지하조직을 결성한 혐의가 있다며 지역 사회단체 등을 상대로 수사해왔는데, 이번 민주노총까지 수사가 확대된 것이다.
국정원과 경찰은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 압수수색 전인 오전 9시쯤 서울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에서 A씨의 신체에 대한 압수수색을 집행해 휴대전화 등 소지품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날 오전 B씨의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와 관련, 보건의료노조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비슷한 시각 C씨의 전남 담양 주거지와 D씨의 제주도 집에 수사관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한편, 민주노총 본부 압수수색엔 경찰 700여 명이 출동했는데, 압수수색 과정에선 조합원들의 거센 반발로 몸싸움이 벌어졌고 영장 집행이 3시간 정도 지연되기도 했다.
한상진 민주노총 대변인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공권력이 민주노총 본부를 압수수색한 것은 처음"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말실수한 상황,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가 야당 채택 보고서로 끝난 문제, 여당 대표 선거에서 나오는 얘기가 이번 압수수색으로 싹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