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택스에서 간소화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오늘(15일) 개통된 가운데, 공제 확대 분야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국세청에 따르면 신용카드 사용액과 대중교통 지출액에 대한 공제가 좀 더 확대된 게 특징이다.
개정 세법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신용카드 사용액과 전통시장 사용액이 그 전년(2021년) 대비 5% 넘게 늘어난 경우, 100만원 한도 내에서 추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금액 소득공제의 경우 지난해 절반(7∼12월) 이용분에 한해 공제율이 40%에서 80%로 올라간다.
▶무주택자에 대한 공제 혜택도 커졌다.
무주택 세대주인 근로자가 주택 임차를 위해 차입한 자금의 공제 한도가 3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늘어난 것이다.
총급여 7천만원 이하의 무주택 근로자가 지출하는 월세에 대한 세액공제율도 기존 10∼12%에서 15∼17%로 상승했다.
이같은 월세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지난해 12월 31일 기준으로 무주택 세대 세대주 및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여야 한다. 아울러 국민주택규모 이하 또는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의 주택을 임차하고 임대차 계약증서 주소지와 주민등록표 등본 주소지가 같은 경우에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난임 시술비 등 출산 관련 세액 공제도 개선됐다.
난임 시술비는 기존 20%에서 30%로,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관련 지출 의료비는 기존 15%에서 20%로 세액공제율이 각각 상향됐다.
▶올해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간편인증(민간인증)도 확대돼 좀 더 편리해졌다.
기존 인증 7종(국민은행, 신한은행, 페이코, 네이버, 카카오톡, 통신사PASS, 삼성패스)에 더해 4종(하나은행, 농협, 토스, 뱅크샐러드)이 추가됐다.
아울러 보건복지부 및 국가보훈처에서 수집한 장애인 증명자료도 간소화 자료로 제공된다.
월세를 신용카드를 이용해 납부한 경우에는 국세청이 카드사로부터 신용카드로 결제한 월세액 자료를 수집해 제공, 간소화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