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2022년 농업인 삶의 질 및 복지 향상 만족도 조사'서 86.3% 기록
2019년 81.4%→2020년 83.0%→2021년 85.2% 등 꾸준히 늘어…지원센터·영농도우미 만족↑
경상북도가 지난해 농업인 삶의 질과 복지를 확대하고자 추진한 출산농가 영농도우미, 여성농업인센터·농촌보육정보센터 등 정책이 큰 호응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주요 정책 수혜자 497명을 대상으로 '2022년 농업인 삶의 질 및 복지 향상 만족도 조사'를 면담 설문한 결과 농업인 복지향상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86.3%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책 성과를 관리하려 지난해 초 설정한 목표치 85%보다 1.3%포인트(p) 높은 것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개선 반영하면서 매년 만족도가 상승하는 추세다.
연도별 만족도를 보면 2019년 81.4%에서 2020년 83%, 2021년 85.2%, 올해 86.3% 등 순으로 만족도가 커졌다.

조사는 대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건이 열악한 농어촌지역의 농업인 복지향상을 위해 시행한 ▷출산농가 영농도우미 지원 ▷여성농업인센터·농촌보육정보센터 운영지원 ▷결혼이민자농가 소득증진 지원 ▷여성농어업인 행복바우처 지원 ▷농촌마을 공동급식시설 지원 사업에 대해 정책 수혜자들 의견을 듣고 제도를 개선하고자 실시하는 것이다.
설문 결과 '여성농업인센터·농촌보육정보센터 운영지원사업'의 경우 '센터 이용이 영농활동에 직접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88%로 높았다. 센터 내 가장 필요한 사업으로는 '문화·건강강좌' 요구가 가장 컸다.
센터는 여성농업인의 고충상담, 문화강좌, 영유아 보육 및 방과 후 아동학습 지원을 위해 도내 9개소에서 운영하고 있다. 15가구 이상의 마을회 등에 공동급식시설 운영비(한곳 당 연간 500만원)를 지원하는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사업' 효과로 농번기 취사 부담 없이 농작업에 집중할 수 있고, 주민들이 함께 모여 식사해 유대관계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농가 영농도우미 지원' 정책은 여성농업인의 영농 공백을 방지하는 효과가 컸다.
지역 여성 농어업인에게 교양, 취미활동, 건강관리, 미용 등에 사용가능한 복지카드(1인당 15만원)를 발급하는'여성농어업인 행복바우처 지원' 정책은 건강증진과 자기계발에 큰 도움이 된다면서 지원을 꾸준히 확대해 달라는 목소리가 컸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농촌이 힐링 공간으로 거듭나고, 농업인의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도록 앞으로도 농업·농촌의 복지를 보장하는 다양한 시책을 발굴하고 추진하는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