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시장 "내년에 다시 논의" 라지만 용역 올스톱·시의회 책임론…1년 순연 아닌 표류 가능성
달서구 "구민의 날 지정하고 유치 기념비로 세웠는데…"
대구시와 시의회의 갈등으로 대구시 신청사 이전 사업이 파행으로 치닫자 전체 사업이 '1년 순연'이 아니라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시의회 책임론을 부각한 홍준표 대구시장이 내년 말에 다시 논의하자고 선을 긋는 상황이지만 달서구의 반발 수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대구 신청사 예정지 선정은 3년 전 이 무렵 지역사회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였다. 대구시는 지난 2011년 신청사 건립기금 조례를 제정한 뒤 수차례 검토와 번복을 반복하며 이전지 선정에 부침을 겪었다.
이후 2019년 11월 달서구와 달성군, 중구, 북구가 이전 후보지로 선정됐다. 대구 시민과 시민단체, 전문가 등 250명으로 구성된 '시민참여단'은 2박 3일간 합숙 토론까지 하면서 달서구 옛 두류정수장 부지를 이전지로 최종 선정했다.
모범적인 공론화를 거쳐 선정된 대구 신청사 사업은 순항하는 듯했지만, 민선 8기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하면서 큰 변화를 맞았다. 대구시의 채무 줄이기를 중대 시정 목표로 정한 홍 시장은 두류정수장 부지의 60% 정도를 매각해 건립 비용을 충당하겠다는 계획안을 제시했다. 이에 반발한 대구시의회가 설계 공모 예산 130억원을 전액 삭감하면서 신청사 건립 사업은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집행부와 의회의 팽팽한 기 싸움으로 사업이 적어도 1년 이상 늦어지게 되자 달서구는 허탈한 심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북구 옛 경북도청 터(현 대구시청 산격청사) 등 쟁쟁한 후보지와의 경쟁 끝에 이전지로 선정된 날을 기념하기 위해 지난 22일 달서구청 앞 화단에 설치한 신청사 유치 기념비는 빛이 바랬다.
달서구청은 '구민의 날'까지 유치가 확정된 12월 22일로 바꿨지만 섣부른 판단이 되고 말았다. 3년 전 유치가 확정되면서 내질렀던 환호가 점점 탄식으로 바뀌는 모습이다.
대구시의 눈치를 보느라 강도 높은 비판을 삼갔던 달서구에서도 점점 반발이 커지는 모양새다. 기념비 제막식에 참석한 김해철 달서구의회 의장은 "숙의 민주주의 과정을 거쳐 선정한 신청사 사업을 중단하는 것은 시민의 권한을 무시하는 행정"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홍 시장은 신청사와 관련한 더이상의 논쟁을 일축한 상태다. 홍 시장은 지난 20일 자신의 SNS에 올린 글에서 "더이상 신청사 문제로 논쟁이 없었으면 한다"며 "(재추진 여부는) 내년 말 예산 편성 때 다시 논의하자"고 썼다.
그러면서 그는 "신청사 건립 준비를 위한 5가지 관련 용역사업을 모두 보류했다"며 "2025년 착공해 2028년 준공하려던 계획이 달서구 시의원들이 주도한 예산 삭감에 순연돼 유감"이라고 책임을 의회에 돌렸다.
홍 시장이 내년 재추진을 제안하기는 했지만 이전사업은 기약 없이 연기되는 수순을 밟고 있다. 홍 시장의 말에 담긴 맥락은 '내년에 재추진하겠다'가 아니라 "다시 검토하거나 논의하자"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업이 백지화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달서구의회 한 의원은 "신청사 유치는 구청 공무원만의 성과가 아니라 많은 구민의 합심해 이뤄낸 결과"라며 "어떤 일이 있어도 사업이 중단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