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휴업 변경 반대' 마트노동자, 홍준표 시장 규탄… 충돌 우려에 경찰 300명 출동

입력 2022-12-22 12:11:06 수정 2022-12-22 12:15:59

22일 오전 대구시 산격청사서 집회…경찰, 대구 5개 기동대 모두 출동 이례적 삼엄한 경비

22일 오전 대구시청 산격청사 정문 앞에서 지역 시민단체가 홍준표 시장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윤수진 수습기자
22일 오전 대구시청 산격청사 정문 앞에서 지역 시민단체가 홍준표 시장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윤수진 수습기자

대구지역 노동·시민단체가 마트 노동자에게 강경 대응을 이어가고 있는 홍준표 시장을 규탄하고 나섰다. 대구시는 집회 참가자의 청사 진입 원천봉쇄에 나서며 갈등이 커지는 양상이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등 22개 지역 노동·시민단체는 22일 오전 대구시청 산격청사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변경에 반대한 마트노동자에게 연행과 구속수사, 엄중 처벌로 답하는 홍준표 대구시장은 각성하라"고 했다.

이들 단체는 "대구시는 지난 19일 이해당사자는 빼놓은 채 대형 유통업체 관계자, 구청장·군수 등만 불러 평일 전환 협약을 체결했다"며 "이해 당사자의 목소리를 들어 달라며 항의 방문한 마트노동자에게 돌아온 것은 연행이었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을 앞두고 대구시는 집회인원의 산격청사 진입을 원천 봉쇄했다. 북부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산격청사에는 대구 기동대 5개가 모두 출동했고, 여경 1개 제대(소대)도 비상상황에 대비했다. 1개 중대를 70명으로 보면 이날 현장에는 300명이 넘는 경력이 배치된 셈이다.

경찰은 집회 시작 전부터 산격청사 출입 차량 운전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했다. 이날 출동 규모는 보통의 시민단체 집회와 비교하면 이례적인 것으로, 앞선 산격청사 점거 사태를 막고 충돌을 사전 차단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다행히 이날 특별한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일부 마트노동자들은 대구시의 강경 대응에 대해 "우리도 시민"이라며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22일 대구시청 산격청사 출입문 앞에 대규모 경찰 병력이 배치돼 있다. 윤수진 수습기자
22일 대구시청 산격청사 출입문 앞에 대규모 경찰 병력이 배치돼 있다. 윤수진 수습기자

대구시는 협약일 당시 산격청사에 무단 진입한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노조원 47명에 대해 건조물 침입과 특수주거침입, 폭행, 공용물 손괴, 공무집행방해,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을 이유로 20일 북부경찰서에 고발장을 접수하며 강경 대응에 나선 상황이다.

홍준표 시장은 자신의 SNS에 "집회시위의 자유는 얼마든지 보장되지만 불법 집회, 공용물 손괴, 다중의 위력으로 공무집행방해, 시청불법점거 등 이런 패악은 더 이상 용납 되어서는 안 된다"며 "산격청사 불법 점거 사태는 법의 이름으로 엄격히 처단돼야 한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이에 대해 단체는 "시청사 항의 방문은 법적 문제가 없다"며 "민원인 출입과 공무원의 구체적 업무를 방해하지 않는 한 항의 목적의 시청사 출입을 범죄로 보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어 "골목상권 보호와 노동자 건강권 보호라는 의무휴업일 목적이 잘 지켜지려면 일요일 의무휴업을 지속해야 한다"고 했다.

대구시 측은 "폭력이나 협박 등 불법 집회와 시위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법치주의를 확립할 것"이라며 "피고발인 전원에 대해 엄중 처벌을 요청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