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이태원 시민대책회의 출범에 "참사 영업 우려"

입력 2022-12-19 17:17:05 수정 2022-12-19 19:11:25

과거 세월호 언급 "국가적 참사 발생을 숙주 삼아 기생하는 참사 영업상"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 주재 비공개 긴급 중진의원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 주재 비공개 긴급 중진의원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이태원 참사에 대한 조사를 촉구하며 시민단체들이 모여 출범한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에 대해 "국가적 비극을 이용한 '참사 영업'을 하려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지난 10일 174개 시민단체가 모여 발족한 시민대책회의에 대해 "비극이 영업이 되는 것은 중단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책위의 참여 단체에는 통진당 후신 정당인 진보당과 극좌 친북단체는 물론 민노총, 전장연, 정의연 등 국민 민폐단체도 끼어있다. 국민의힘 당사에 무단 침입한 한국대학생진보연합도 있다"며 "진상규명을 위한 재난전문 기술 및 연구단체는 찾기가 힘들다. 시위, 집회, 파업 등에 특화된 단체만 즐비하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시민대책회의를 두고 과거 세월호 참사를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세월호 사태에서 우리는 똑똑히 목격했다. 국가적 참사가 발생했을 때 이를 숙주로 삼아 기생하는 참사 영업상이 활개 치는 비극을 똑똑히 봤다"며 "이들은 참사가 생업이다. 진상이 무엇인지 관심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들은 진상이 밝혀지면 무대가 사라지기 때문에 끊임없이 조사를 요구한다. 세월호만 해도 4년간 572억원을 쓰고도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또 "이들은 음모론을 전염시키고 돈을 번다"며 "김어준씨는 세월호 고의 침몰설을 퍼뜨리고 영화로 4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혹세무민의 전형이자 참사 영업의 표본"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들이 유가족과 정부 사이에 서서 벽을 치고 소통을 차단하면서 증오와 분노를 증폭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며 "실체 없는 진상규명에 매달리다가 재발 방지 대책도 제대로 논의하지도 못하는 그런 단체가 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앞서 7일 참여연대와 민주언론시민연합 등 174개 시민사회단체는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지원을 위한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를 출범했다.

이들은 발족선언문에서 "이태원 참사는 대규모 인파가 예상됐지만 뚜렷한 안전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예고된 참사이자 막을 수 있었던 인재"라며 "피해자가 참여한 가운데 성역 없는 진상규명, 철저한 책임자 처벌이 이뤄지도록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