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군위군 내준 결단, 공항도시·산단 조성 약속대로"

입력 2022-12-11 17:18:41 수정 2022-12-11 20:28:53

대구시 군위군 편입 처리 후 목소리 커져
의성 "우리도 합당한 보상 필요"…대구경북 공동합의문 이행 촉구

5일 대구의 관문 동대구역에 글로벌 대구를 알리는 홍보판이 세워져 눈길을 끈다.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이 국회 상임위를 통과한 데 이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특별법 또한 연내 국회 통과가 유력시 되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5일 대구의 관문 동대구역에 글로벌 대구를 알리는 홍보판이 세워져 눈길을 끈다.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이 국회 상임위를 통과한 데 이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특별법 또한 연내 국회 통과가 유력시 되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생니 뽑은 심정'으로 대구시에 군위군을 내준 경북에서 중앙정부와 대구시·경북도를 향해 '제대로 된 공항 건설, 군위·의성 공항도시 조성' 요구가 커지고 있다.

11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8일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자 도민들 사이에서는 '대구경북 공동합의문'의 남은 내용을 반드시 이행해 달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공동합의문은 지난 2020년 7월 경북도지사와 대구시장, 지역 국회의원 25명, 경북도의원 53명, 대구시의원 26명 등 모두 106명이 서명한 것이다.

▷민간공항·공항진입로·군 영외관사의 군위군 배치 ▷군위군·의성군에 공항 신도시, 산업단지 각 330만㎡ 조성 ▷군위군 관통 도로 건설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 등 내용을 담았다.

이와 관련, 경북도는 최근까지 연구용역을 실시해 1만6천가구 4만명 규모의 군위·의성 공항 신도시 및 산업단지 조성 기본구상을 마쳤다. 군위군에는 공항 관련 주거단지를, 의성군에는 물류·산업단지를 들인다는 내용이다. 내년부터 1년 간 세부계획을 세운다.

이에 따라 의성에서는 도 예산을 들여 단지를 조성하고, 군위에서는 상위 광역단체가 된 대구시가 예산 사업을 벌인다. 경북도와 대구시의 공조가 중요한 대목이다.

군위군을 제외한 경북 22개 시군은 대구경북신공항 건설과 남은 공동합의문 이행에 따른 경북 내 인구유입, 경제발전 등 효과를 고대하고 있다.

경북도가 계획한 스마트 항공물류단지, 항공산업클러스터를 제대로 지어 지역발전을 이끌고, 산학연 인프라를 갖춘 대구시도 이에 협조해 달라는 것이다.

특히 의성군에서는 항공물류단지와 항공정비산업단지, 산업·물류 종사자 주거단지 조성 약속을 지켜달라는 목소리가 높다. 군위군이 광역시에 편입돼 수혜를 얻은 만큼, 마찬가지 공항도시인 의성에도 합당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이유다.

경북도는 앞으로 대구시와 공조하며 공동합의 이행에 힘쓰고, 중앙정부와 정치권에는 신공항 건설 시기를 앞당기도록 요청할 방침이다. 특히 '대구경북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도록 정부·정치권의 지원과 배려를 요청하기로 했다.

앞서 도는 공동합의에 따라 군위군에 민간공항 터미널과 공항진입로, 군 영외관사를, 의성군에 군 부대 정문과 영내 주거시설, 복지·체육시설을 배치했다. 농식품산업클러스터, 비즈니스 관광단지 등 신공항 연계사업들도 내년 초쯤 기본 용역을 마치고 입지를 결정하는 등 사업에 착수한다.

군위군 편입에도 백방으로 힘써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2020년 군위군의 단독후보지 고수, 2021년 9월 경북도의회의 반대, 올해 지역 국회의원의 반대 등 암초를 만날 때마다 국회와 대구, 광주로 동분서주하며 당위성을 설득해 이번 결실을 맺었다.

경북도 관계자는 "앞으로 경북과 대구, 군위와 의성은 대구경북신공항을 주축으로 하는 이웃사촌으로 상부상조할 전망이다. 대구경북 시도민들도 꾸준한 관심과 지지로 대구경북신공항 건설에 함께 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