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학교] 독립운동가 장진홍 열사 배출…구미인동초교

입력 2022-12-11 12:55:41 수정 2022-12-11 18:49:14

6·25한국전쟁 여파로 학교 무너졌지만 학부모들 십시일반해 학교 3동 다시 지어
일본에 맞서 독립투쟁한 '장진홍 열사' 배출
지난 2009년 교내에 인동전통교육관 개관해 인동의 역사와 '장진홍' 열사 자료 함께 전시

구미 인동초등학교 3회 졸업생 사진. 구미인동초등학교 제공
구미 인동초등학교 3회 졸업생 사진. 구미인동초등학교 제공
지난 1964년 구미인동초등학교 학생들이 봄소풍을 가는 모습. 구미인동초등학교 제공
지난 1964년 구미인동초등학교 학생들이 봄소풍을 가는 모습. 구미인동초등학교 제공

경북 구미 인동초등학교는 구미 강동지역에서 설립된 지 유일하게 100년이 넘은 학교이자 근현대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학교다.

특히 1900년대 초 사회적으로 혼란한 상황에서 창립된 인동초등학교는 독립운동가 '장진홍 열사'를 배출하고, 미래를 위한 교육에도 힘쓰면서 현재는 구미를 대표하는 초등학교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인동초등학교는 지난 1905년 4월 1일 향장 김서오 선생이 '옥산 학교'로 창립하면서 시작됐다. 창립한 지 만 107년이 넘는 동안 인동의 교육을 책임지면서 장세용 전 구미시장 등의 졸업생이 나왔다.

경북에서 순탄하게 자리를 지켜왔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인동초등학교는 긴 역사 속에 많은 위기와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인동초등학교의 첫 위기는 6·25 한국전쟁에서 비롯됐다. 45년간 버텨온 학교는 1950년 8월 전쟁의 상처를 비켜나가지 못하면서 교육의 장이 완전히 소실됐다.

하지만 전소된 학교는 학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열정과 희생으로 되살아났다. 학부모들은 6·25한국전쟁 당시 어려운 형편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십시일반 돈을 모았고, 이듬해 초가교실 3동을 지으며 학교의 명맥이 유지될 수 있었다.

또한 1912년 인동공립 보통학교 4년제 인가, 1941년 인동공립 국민학교 개칭 등을 거쳤고, 1978년 2월에는 인동초등학교가 칠곡군에서 구미로 편입되면서 행정구역의 변화도 있었다.

이후 1996년 인동초등학교로 명칭이 변경됐고, 2022년 1월 진행된 109회 졸업식까지 총 1만446명의 졸업생이 이곳을 거쳐 갔다.

긴 역사를 가진 인동초등학교는 일제감정기 시절 강력하게 항거한 독립운동가 '장진홍 열사'가 배움의 흔적을 남긴 곳으로 유명하다.

지난 1907년 인동초등학교를 졸업한 장진홍 열사는 1919년 3월 1일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고, 위난에 처한 민족을 위해 수많은 투쟁해오다가 대구형무소 감방에서 35세의 나이로 순국했다.

장진홍 열사는 당시 인동초등학교 선생님의 교육을 통해 민족의식과 항일투쟁의식을 깨우치면서 구국항쟁에 나서게 됐다. 대구복심법원에서 사형을 언도받은 상황에서도 '대한독립만세'를 크게 삼창하면서 자랑스러운 인동초등학교의 동문이자 독립운동가로 평가 받고 있다.

인동초등학교는 인동의 소중한 역사를 담고, '장진홍 열사'의 거룩한 뜻을 기리고자 교내에 인동전통교육관을 운영하며 자료 등을 비치하고 있다.

인동전통교육관은 지난 2009년 4월 개관해 학교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살펴볼 수 있는 체험의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곳은 학교의 변천사 등이 담긴 많은 사진과 물건, 인동의 옛날과 오늘에 대한 다양한 자료들이 전시되고 있다.

또한 장진홍 열사의 자료를 별도로 전시하고 있으며, 인동초등학교를 거쳐 간 훌륭한 선배와 선생님들의 자료를 전자 앨범으로 보관하고 있다.

과거에 대한 공부와 함께 미래를 위한 교육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인동초등학교는 지난 2015년 경북 100대 교육과정 우수교, 2016년 최우수교, 2017년 우수교로 선정되는 등 교육과정에서도 우수함을 돋보였다.

김욱 인동초등학교 교장은 "지나온 100년에 대해서 잊지 않고, 또다른 100년을 위해 미래 인재 핵심역량을 키워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교육의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지난 1965년 구미 인동초등학교 입학식 모습. 구미인동초등학교 제공
지난 1965년 구미 인동초등학교 입학식 모습. 구미인동초등학교 제공

구미인동초등학교 내에 만들어진 인동전통교육관. 구미인동초등학교 제공
구미인동초등학교 내에 만들어진 인동전통교육관. 구미인동초등학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