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10명 중 8명 "성 소수자 관련 교육 필요하다"

입력 2022-11-29 15:01:18

중학생 1~3학년 4천65명 대상 설문조사

지난 7월 16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3년 만에 퀴어문화축제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7월 16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3년 만에 퀴어문화축제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중학생 10명 중 8명이 '성 소수자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해 눈길을 끈다.

29일 총리실 산하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학국여성정책연구원의 '청소년 성교육 수요조사' 자료를 보면 2018년 11월 6일부터 12월 5일까지 중학교 1~3학년 4천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학교 성교육에서 성 소수자 관련 정보나 교육을 받아본 적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1.1%만이 '그렇다'고 대답했다.

향후 학교에서 성 소수자 관련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7.9%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성별로 보면 남학생과(70.1%)보다 여학생(86.2%)이, 2학년(75.3%)과 3학년(77.4%)보다는 1학년(81.2%)이 필요성을 더 크게 느꼈다.

본인의 성 정체성이나 성적 지향을 고민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은 각각 26.1%(성 정체성)와 30.7%(성적지향)였다. 특히 남학생(성 정체성 20.8%, 성적 지향 24.9%)보다는 여학생(성 정체성 31.7%, 성적 지향 37.0%)이 이런 고민을 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성 소수자라는 생각이 들 경우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복수응답)에 대한 질문에는 '그런 생각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다'는 응답이 28.9%로 1위였다.

다만, 이런 응답은 성별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나타냈는데 남학생의 경우 ▶ 그런 생각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다(35.4%) ▶ 숨긴다(24.0%) ▶ 부모님에게 의논한다(21.1%) 순이었다. 이에 비해 여학생은 ▶ 부모님에게 의논한다(32.3%) ▶ 친한 친구에게 이야기한다(25.0%) ▶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알아본다(24.9%) 순이었다.

연구진은 "자신이 성 소수자라는 생각을 부정하거나 숨기겠다고 답한 남학생들과 달리 여학생들은 부모님이나 친구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공유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교육부는 새 교육과정(2022 개정 교육과정)을 행정예고하면서 기존에 정책연구진이 시안에 넣었던 '성 소수자'와 '성평등'이라는 단어를 없앴다.

이날 행정예고가 끝나고 새 교육과정 최종안이 조만간 확정될 예정이어서 같은 논쟁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