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화해위, 대구경북 ‘민간인 희생사건’ 진실 규명 신청 1천348건 접수

입력 2022-11-21 17:19:41 수정 2022-11-21 21:58:04

대구경북 군경에 의한 희생 1천225건, 적대세력 123건 접수 완료
경주·고령·경산 보도연맹 및 예비검속, 경산 박사리 학살 등 ‘진실규명’ 결정
내달 9일까지 진실 규명 신청 접수…지자체별 유해 발굴 사업 신청도

2022년 10월 1일, 가창면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에서 열린 대구 10월 항쟁 유족회 주최 위령제 모습. 매일신문DB
2022년 10월 1일, 가창면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에서 열린 대구 10월 항쟁 유족회 주최 위령제 모습. 매일신문DB

한국전쟁 전후에 발생한 민간인 희생 사건에 대한 진실 규명 신청이 대구경북에서만 1천348건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진실화해위원회(이하 진화위)에 따르면 이달 10일까지 대구경북에서는 군경에 의한 민간인 희생 1천225건, 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 123건 등 모두 1천348건의 과거사 진실규명 신청이 접수됐다. 지역 별로는 경주 251건, 영덕 138건, 문경 137건 등 3개 시·군이 전체 접수의 39%를 차지했다.

진화위는 대구경북에서 4개 사건에 대해 '진실규명'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경주, 고령, 경산에서 발생한 국민보도연맹 사건 및 예비 검속 사건 각각 1건과, 경산 박사리의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등이다.

진화위는 국민보도연맹 사건 및 예비검속 사건은 국가가 희생자와 유족에게 공식 사과하고 국군과 경찰 등 책임 있는 기관도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국가와 지자체가 피해 회복과 추가 유해 발굴 등 위령사업 지원, 가족관계등록부 정정, 평화인권교육 조치 등을 추진하도록 했다.

경산 박사리 사건은 주민 34명이 1949년 11월 빨치산에 의해 희생되거나 상해를 입은 사건이다. 진화위는 이 사건에 대해 국가가 사과 및 피해 회복 조치를 하는 한편, 지자체와 함께 추모 사업 지원, 유해발굴 및 안치, 증언채록 등을 하라고 권고했다.

특히 진화위는 대구 '10월 항쟁'과 관련한 유해 발굴 사업과 가창면 용계리 국민보도연맹 사건 등을 비롯해 전국 6개 지역 7곳에 대한 유해발굴 사업도 추진한다.

앞서 지난 2일 17개 시·도와 가진 제4차 시도실무협의회에서 논의한 '2023년 유해발굴 자치단체 보조사업'과 관련해 지역 별 신청을 받고, 유해 발굴사업도 지원할 방침이다.

이 사업은 진화위가 유해 매장 추정지 실태조사로 확인한 유해발굴 가능지역 37곳이 우선 대상이다. 유해 매장지 보존을 위한 유해 추정지 안내표지판 설치 신청도 지역 별로 받는다.

진화위는 다음달 9일까지 과거사 진실 규명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지자체에게서 유해매장 추정지에 대한 발굴조사 지원 신청도 접수한다.

정근식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은 "진실 규명 신청 마감 때까지 많은 분들이 신청할 수 있도록 국민과 언론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