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가 한국 기업들과 총 300억달러(약 40조원) 규모의 투자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17일 보도했다.
칼리드 알-팔레 사우디 투자부 장관은 이날 사우디 매체 아샤르크TV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또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는 운용기관 사우디벤처캐피털(SVC)을 인용해 한국에 펀드를 조성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도 전했다.
이런 보도는 사우디아라비아 실권자로 꼽히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한국을 방문한 가운데 나왔다.
이에 맞춰 이날 양국 정부는 '한·사우디 투자포럼'을 개최했으며, 이 자리에서 한국의 주요 기업과 사우디 정부·기관·기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총 26건의 계약 및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며, 추가 프로젝트 추진도 논의 중이다.
구체적으로 6건은 한국 민간기업과 사우디 투자부 간, 17건은 공기업이 포함된 한국기업과 사우디 기관·기업 간, 3건은 사우디가 투자한 기업(에쓰오일)과 국내 건설사들 사이에 맺어졌다. 각 협약의 예정된 사업비만 조(兆) 단위에 이른다.
추가 협력도 기대된다.
빈 살만 왕세자는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등 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도 만난다.
삼성은 인공지능(AI), 5세대(G) 무선통신,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은 앞서 삼성물산·현대건설 컨소시엄을 구성해 네옴시티 '더라인' 터널공사를 수주한 상태다.
SK는 친환경에너지 부문, 현대차는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생태계 구축, 한화의 경우 태양광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분야의 투자 가능성을 각각 타진할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