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언론자유 특별위원회가 16일 공식 출범하면서 대통령실의 MBC 대통령 전용기 배제 등을 윤석열 정권의 언론 탄압으로 규정하며 언론이 감시와 비판의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더불어민주당 당대표회의실에서 '언론자유특별위원회 발족식 및 1차 회의'가 열렸다.
특위는 위원장을 맡은 고민정 의원을 비롯해 김회재, 노웅래, 박광온, 신현영, 이원택, 임오경, 정필모, 한준호, 허종식 의원 등으로 구성됐다.
고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예비후보였던 시절 SNS에 올린 글을 언급하며 "'때로는 언론과 갈등을 겪겠지만 언론의 자유는 헌법상의 가치다'라고 했는데 지금 어떤가. 취임하며 국민 앞에 헌법 준수를 선언한 대통령이 앞장서서 헌법상 가치인 언론의 자유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고 위원장은 MBC 순방기 탑승 불허, TBS 지원 중단 조례안 통과, YTN 민영화 시도 등을 언급하며 "30~40년전 군사정권에서나 볼 법한 언론탄압이다. 무능한 국정운영을 보이고 민심과 동떨어진 대통령실과 정부 관료들에게 쏠리는 국민의 눈과 귀를 언론탄압과 통제로 가릴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언론자유특위는 민주주의 사회의 거울이자 공기인 언론의 자유를 지켜내겠다. 언론이 감시와 비판의 사명을 다 할 수 있도록 언론 탄압에 함께 맞서겠다"고 강조했다.
MBC 기자 출신인 노웅래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언론탄압 기도가 갈수록 노골화되고 있다. 대통령의 욕설을 보도했다는 이유로 MBC에 대통령 전용기 탑승을 불허한 데 이어 갑자기 수백억원의 세금을 추징했다. 이거야말로 비판언론 죽이기 아니고 무엇인가. MB식 언론 장악 기도이자 길들이기"라고 밝혔다.
이어 "문재인 정부 시절 언론자유지수가 40위대로 아시아 국가 중 최고 기록을 세웠지만 윤석열 정부의 무도한 행태로 박근혜 정부 때의 70위권에도 못 미칠 가능성이 높다. 특위가 언론자유를 지켜낼 것을 기대한다"고도 했다.
역시 MBC 기자 출신인 박광온 의원은 "제가 의정생활을 하면서 언론자유를 위한 특위가 당 내 구성되리라곤 상상조차 못했다"며 "안타까움을 넘어 어처구니가 없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참담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언론은 정치의 종속물이 아니다. 더더군다나 정권의 예속물이 아니다. 정치가 국민의 민복을 위한 노력의 과정이라고 한다면 언론은 정치가 과연 국민의 민복을 위해 제대로 일하는가를 감시하는 기능이다. 언론 자유를 위축시키고 탄압하려는 시도는 과거 독재정권 시절의 전유물이었다.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이 얘기가 나온다는 건 참으로 부끄러운 일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