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가짜뉴스 퍼뜨리면 끝까지 책임 묻는 풍토 정착돼야"

입력 2022-11-08 15:17:49

국회 예결특위 정책질의서 밝혀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8일 "가짜뉴스를 퍼뜨리는 사람에 대해 반드시 끝까지 책임을 묻는 풍토가 정착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칼이나 다름없는 흉기 같은 거짓으로 사람을 찌르고 난 다음에 '아니면 말고, 안죽었으면 그만'이라고 (가짜뉴스를) 방치해선 안 된다"라는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밝혔다.

한 장관은 '유튜브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양산되는 가짜뉴스, 허위사실, 괴담에 대해 법이 개입할 수 있는 법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김 의원의 지적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앞서 한 장관은 예결위에 출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전날(7일) 자신의 발언을 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와 국민에 대한 모욕이고 사과를 해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는 데 대해 "사과는 허황된 음모론을 퍼뜨린 사람이 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한 장관은 전날 예결위에서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이태원 참사 사건과 관련해 한 장관이 추진하는 이른바 마약과의 전쟁이 원인이라는 주장이 나왔다'고 하자 "김어준 씨나 홍운하(민주당) 의원과 같은 '직업적인 음모론자들'이 이 국민적 비극을 이용해 정치장사를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이에 민주당 의원들의 반발과 사과 요청이 이어졌으나 한 장관은 이를 거부, 예결위는 정회가 이뤄졌고, 이후 재개된 예결위에서도 한 장관은 야당의 사과 요구를 거절해 다시 한번 예결위가 정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