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 국회 운영위 답변
"세월호땐 해수장관이 수습 후 8개월 후 사퇴…성수대교 땐 인사청문 없었다"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사의를 표명한 내각 구성원이나 대통령실 참모진은 없다고 밝혔다. 국무총리·행정안전부 장관·경찰청장 등을 향해 제기된 경질론에 대해서도 사고 원인 분석이 먼저라며 선을 그렀다.
김 실장은 8일 오전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책임은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지는 것이다. 국무총리·장관·경찰청장 등 내각 구성원 중 사의를 표명한 사람이 있나'라는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아직은 없다"고 답했다.
'대통령실 참모진 중엔 없나'라는 질의에도 "없다"고 답했고, '윤석열 대통령에게 직접 문책 인사를 건의한 적 없느냐'는 질문에도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의 보다는 원인 분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저희도 참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우리 정부의 수준에서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다"며 "그래서 일단 수사 결과를 좀 보고요"라고 말했다.
이어 "의원님 말씀대로 지금 사람을 바꾸고 하는 것도 중요할 수도 있지만, 그 다음에는 어떻게 하시겠습니까"라며 "그러면 또 청문회 열고, 뭐 하면 두 달이 또 흘러가고, 행정공백이 또 생기고…"라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그래서 지금은 사의를 논의할 때가 아니고 사고 원인 분석부터 전념하겠다는 뜻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사고 당시 이영덕 국무총리가 사의 표명을 했다는 최기상 민주당 의원의 지적에는 "예전에 성수대교 때는 인사청문회 제도가 없어서 장관 바꾸면 다음에 즉시 또 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장관 바꾸고 경찰청장 바꾸고 서울경찰청장 바꾸면 (시간이 흘러간다)"이라고 반박했다.
김 실장은 "세월호 같은 때를 보면 당시 해양수산부 장관은 다 수습하고 8개월 후에 사퇴했다"고 덧붙였다.
'이상민 행안장관에게 재신임 약속을 했느냐'는 질문에는 "그런 약속 안했다"면서도 "그분들 물러난다고 해서 당장 급한 게 아니다. 당장 급한 것은 이 참사의 원인, 누가 얼마나 책임을 져야 하는지, 그거부터 정하고 판단해야 할 사안"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