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경호처 "관저 경비와 이태원 참사 인과관계 없다" 일축

입력 2022-11-07 17:06:27

김종철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2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종철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2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종철 대통령경호처 차장은 7일 이태원 참사 당시 대통령 관저 경비로 인한 경찰 인력 부족 문제를 지적한 일각의 주장에 대해 "관저 경비와 이번 참사 간 인과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차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장동혁 국민의힘 의원이 '대통령 관저 경비업무, 경찰인력 부분이 이번 사건(이태원 참사)에 경찰인력 부족을 초래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인과관계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차장은 장 의원의 '한남동 관저의 경우 각종 상황을 대비해 과거 청와대에서 근무하던 병력을 최소한으로 운영하는 것이 맞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통령관저는 중요시설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계시든 계시지 않든 경비를 해왔다"며 "국가중요시설을 지키는 경찰은 치안경찰과는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별도로 편성된 경찰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장 의원은 "일부 언론과 야당에서 그와 같이 비판하는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국민들에게 잘못된 허위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앞서 안귀령 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은 지난 5일 서면브리핑에서 "이태원 참사 당일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한남동 관저에 대규모 경찰 인력이 배치된 것으로 드러났다"며 "대통령 부부가 차일피일 입주를 미뤄 '빈집'인 곳을 지키기 위해 200명에 달하는 경찰 인력이 투입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참사 당일 용산 대통령실은 물론이고 대통령 부부 서초동 자택에도 경찰기동대가 배치됐다"며 "빈집인 한남동 관저부터 서초동 자택, 대통령실까지 대통령 부부를 지키느라 경찰이 꼼짝도 못 하는 동안 압사 위험을 우려하는 시민의 112 신고는 빗발쳤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이에 경호처는 전날 입장문을 내고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 한남동 관저 경비가 참사의 원인이라는 내용의 더불어민주당 논평에 대해 "무분벌한 선동정치"라고 반박했다.

경호처는 입장문에서 "민주당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태원 참사 당일 한남동 관저에 대규모 경찰 인력을 배치해 대통령을 지키느라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손을 놓았다'는 식으로 관저 경비 임무가 이태원 사고의 원인인 것처럼 주장했으나 이는 명백한 허위이며 사실을 날조·왜곡한 선동이자 정치공세"라고 반발했다.

경호처는 "대통령 경호와 경비는 국가 안위에 직결되는 사안으로 어떤 상황에서도 절대안전을 보장해야 한다"며 "그런 중차대한 임무에 경찰인력을 배치한 것을 두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지 못한 원인으로 호도하는 것이야말로 사고의 아픔을 정치적 공세의 수단으로 삼는 무분별한 선동정치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