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1조' 들인 통신망 이태원 참사서 활용 안 돼

입력 2022-11-04 14:57:20 수정 2022-11-04 15:11:40

경찰·소방·지자체 간 동시 소통 무전기…국가 규모 재난 사태 대비용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이태원 사고' 수습상황 및 향후 계획 등 중대본 회의 주요 논의사항 브리핑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우성 외교부 해외안전관리기획관, 우종수 경찰청 차장, 방문규 국무조정실장,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이일 소방청 119 대응국장.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 규모 재난 사태에 대비하고자 1조원이 넘는 예산을 들여 구축한 '재난안전통신망'이 이번 '이태원 압사 참사'때는 활용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4일 정부세종청사서 열린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경찰·소방·지방자치단체 간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4세대(PS-LTE) 무선통신기기'가 보급됐지만 이번 참사 때 활용되지 않은 게 맞느냐는 질의에 "지금까지 조사한 바로는 사실"이라고 답했다.

방 실장은 이어 "효과적으로 구축된 재난통신망이 이런 재난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한 것에 대해서 참으로 안타깝다고 생각이 되고 관련된 조사 등도 이뤄져야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성호 행전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도 "재난안전통신망은 기관 간 사고 현장에서의 통화가 주요한 목적"이라면서 "버튼만 누르면 통화그룹에 포함돼 있는 기관들이 다 연결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체제가 돼 있는데, 이번에는 그 부분이 제대로 작동이 안 된 부분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본부장은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한 기관 내 소통은 원활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관 안에서의 통화는 재난안전통신망으로 원활하게 이뤄졌다"면서 "가령 경찰의 경우 1천500명, 1천500대의 단말기가 현장에 있었고 그 1천500대가 동시에 통화할수도 있고, 13개 그룹으로 나눠 그룹별 통화가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또한 "재난안전통신망에 문제가 있다거나, 통화가 안 됐다던가 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유관기관 간 통화를 해야 되는데 그룹으로 묶어놓은 부분들을 사용 안 했다는 그런 상황"이라고 했다.

김 본부장은 '재난안전통신망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 이유'와 관련해선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다"면서 "관련 훈련들도 하고 있는데 조금 부족한 부분이 있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