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식 입장 아니라 개인적 언급이 기사화"
이란 정부가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해 한국 정부의 현장관리가 부실했다고 지적한 데 대해 우리 정부가 유감을 드러냈다.
1일 외교부 당국자는 "이란 측을 즉시 접촉해 확인한 결과, 해당 발언이 정부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 개인적 언급이 기사화된 것이라고 설명해 왔다"며 "그런 언급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고 유감을 표명했고 향후 각별한 주의와 재발방지를 강력히 요청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이란프런트페이지뉴스(ifp)와 잉글리시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나세르 칸아니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불행히도 이번 사고로 이란인 5명이 목숨을 잃었다. 한국 정부는 행사 관리를 했어야 한다"면서 "한국 정부가 체계적인 계획으로 부상자 문제를 비롯한 상황 대응을 할 수 있기 바란다"고 비판했다.
통상 외교 관행 상 특정 국가에서 참사가 일어날 경우 사고 수습이 최우선인 만큼 해당 국가의 정부 책임과 관련한 공식 입장은 밝히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란 외에 다른 나라에서 유사 언급이 있었는지 묻는 질문에 "없었다"며 "이례적인 일"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참사로 인한 외국인 사망자는 총 26명으로 국적별로는 이란이 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 중국 4명, 러시아 4명, 미국 2명, 일본 2명, 프랑스·호주·노르웨이·오스트리아·베트남·태국·카자흐스탄·우즈벡·스리랑카 각 1명씩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사고 발생 이후 현재까지 세계 각지에서 116개 국가와 국제기구에서 조의를 전해왔다.
외교부는 유관부처와 협의해 관련 법령에 따라 외국인 희생자에 대해서도 우리 국민에 준해 지원하기로 했다.
외국인 사망자의 경우 생활지원금 최대 2천만원, 장례비용 운구비용을 포함해 1천500만원 한도 내에서 실비를 지원한다.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부상자 치료비도 지원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다.
한 가구에 1박당 숙박비 7만원도 제공된다. 다만 유가족의 입출국 항공료 지급 여부는 아직 협의 중에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