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이동량 증가하면서 뎅기열 환자 증가…작년 3명→올해 59명
최근 동남아시아 국가에 방문한 후 뎅기열에 감염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질병관리청이 감염 예방을 위한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1일 "올해 들어 10월까지 국내에 유입된 뎅기열 환자는 모두 59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뎅기열 환자들의 추정 감염 국가는 베트남이 21명으로 가장 많았고,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가 각각 6명, 인도 5명, 싱가포르 4명 등이다.
뎅기열은 매년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 국가에서 1억 명 이상에게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베트남에서는 올해 9월까지 22만4천771명의 뎅기열 환자가 발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351.7%의 급증세를 보인 것이다.
올해 필리핀과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도 뎅기열 환자가 지난해보다 2배에서 최대 6배까지 발생했다.
방역 당국은 각종 방역 완화로 해외 이동량이 많아지면서 뎅기열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코로나19로 해외 방문이 제한됐던 지난해는 뎅기열 환자가 3명에 그쳤고, 2020년에는 43명이었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를 지닌 숲모기에 물려 감염된다. 3일에서 최대 14일의 잠복기를 거치며 갑작스러운 고열과 두통, 발진,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환자 중 약 5%는 중증 뎅기 감염증으로 사망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이전 국내에서는 연평균 200명 안팎의 해외 유입 뎅기열 환자가 나왔다. 당국이 2017년에서 2022년 해외 유입 뎅기열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이 가운데 86.3%가 동남아 국가에서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뎅기열 백신과 치료제는 없기 때문에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뎅기열 위험 국가에서 모기에 물린 후 2주 이내에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에 해외 국가 방문력을 알리고 신속하게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뎅기열 위험 지역 방문을 계획하고 있는 국민은 지역별 감염병 정보 확인,모기 기피 용품과 상비약 준비, 풀숲과 산속 등 피하기, 활동시 밝은색 옷 입기 등의 예방수칙을 숙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