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문명 지음/ 동아일보사
반도체는 '미래의 쌀'이라고 한다. 그 만큼 미래 인간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요소다. 최근 미국과 중국 사이의 이른바 '반도체 전쟁'을 보더라도 그렇다. 세계 패권을 유지하려는 미국은 반도체를 국가 안보 자산으로 규정하고 중국으로의 최첨단 반도체 및 그 기술이 넘어가지 않도록 각종 제재를 가하고 있다. 중국 또한 이에 맞서 자국 최대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를 필두로 해서 자체 반도체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반도체에 있어 우리나라와 대만을 빼놓을 수 없다. 대만에 TSMC가 있다면 우리나라에는 삼성전자가 있기 때문이다. TSMC가 세계 1위의 비메모리 반도체 생산업체라면 삼성전자는 세계 메모리반도체 업계의 최고봉에 있다. 삼성전자는 2002년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1등에 오른 뒤 2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같은 신화를 이룩한 인물이 이건희 전 삼성전자 회장이다.
최근 이 전 회장이 이룬 '반도체 신화'를 집중적으로 다룬 책이 나와 눈길을 끈다.
이 책은 1부 '호암 이병철과 이건희가 초대한 반도체 세상', 2부 '역대 대표적인 삼성반도체 CEO들의 증언을 통해 본 이건희 회장의 리더십' 편으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삼성 직원들조차 반도체의 '반'자도 모르던 시절에 호암이 어떻게 이 사업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를 소개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이 전 회장의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1970년대 앞이 보이지 않던 암울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첫 반도체 회사인 한국반도체를 인수하면서 시작된 호암의 반도체 사업 구상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2부에 소개되는 이윤우, 진대제, 임형규, 황창규, 권오현 등 삼성을 대표하는 전직 최고경영자들은 삼성이 아직 초일류가 되기 전에 삼성 입사를 결심하고 함께 신화를 주도한 대표적 CEO들이다. 지은이는 이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삼성 반도체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이 전 회장의 초격차 리더십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지은이는 "호암과 이 전 회장은 반도체 사업을 통해 한국사회가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빠른 추격자)에서 '퍼스트 무버'(First Mover·선도자)로 가야 한다고 주창하면서 이를 실천하려고 노력한 경영자들"이라고 밝히고 있다. "반도체처럼 리스크가 큰 사업에 투자하다 삼성이 한 순간에 망할 수 있다"는 우려를 수없이 들으면서도 고독한 결단으로 사업을 밀어부쳐 지금의 성과를 이뤘다고 평가했다.
전작 '경제사상가 이건희'에 이어 이번 책을 펴낸 허문명 동아일보 기자는 문과 출신의 비전공자이지만, 기술과 반도체를 취재하고 공부해 어려울 수 있는 반도체 이야기를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쉽게 풀어냈다. 455쪽, 2만6천원.
댓글 많은 뉴스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홍준표, 대선 출마 선언 "치유의 시간 하루면 족해, 30년 정치인생 마지막 사명으로 철저히 준비"
한동훈 "언제나 국민과 함께…더 좋은 대한민국 만들자"
조기대선 일정은? 사전투표 5월 29~30일, 본투표 6월 3일 전망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