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8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정진석 비대위원장 임명 안건'을 의결했다. 지난달 26일 법원이 주호영 전 비대위원장 직무 정지를 결정한 뒤 비대위 전환 요건을 손질(당헌 개정)해 새로운 비대위를 출범시키게 된 것이다.
국민의힘(전신 포함)은 2010년 이후 12년 동안 10번째 비대위(정진석 비대위 포함)를 출범시켰다. 평균 1.2년에 한 번 비대위를 출범시킨 셈이지만, 성공작으로 평가받는 비대위는 2011년 12월 출범한 박근혜 비대위뿐이다. 당내 역학 구도에 밀려 비대위가 별 성과를 내지 못했던 것이다.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에 비해 정 위원장은 불리한 조건이다. 과거 박 위원장은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로 전권을 쥐고 당 혁신을 지휘할 수 있었지만 정 위원장은 그때처럼 당내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지 않다. 무엇보다 역대 비대위 때는 선거 패배 같은 위기 속에서 '뭉치고 희생해야 한다'는 의식이 당 구성원들 사이에 존재했다. 하지만 현재는 '당원 간 불신'이 팽배해 어려움이 클 것으로 보인다. 정 위원장은 국민의힘 비대위가 '습관성 체제'로 전락하지 않도록 세밀한 방안을 마련해 여당을 안정시켜야 한다.
정 비대위의 당면 과제는 이준석 전 대표 측이 제기한 '당헌 개정 전국위 개최 금지 가처분 신청'과 '새 비대위 가처분 신청' 등 법정 다툼이다. 법원 결정에 따라 '정진석 비대위'가 흔들릴 수도 있다. 여당의 비대위 체제가 또 무너진다면 정국은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져들 것이다.
이 전 대표와 각을 세웠던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8일 자진 사퇴했다. 이제 이 전 대표도 멈춰야 한다. 그만하면 자신의 뜻과 명분을 국민들에게 충분히 전달했다고 본다. 자기만 옳다는 생각, 자신이 피해자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여당을 계속 때리고 찌른다면 결국 그 피해는 이 전 대표 본인과 여당, 국민이 입을 수밖에 없다. 여당이 내부 분란으로 세월을 보내는 것은 민생경제로 고통받는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