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기업 58% “추석 체감경기, 작년보다 올해 더 악화”

입력 2022-08-31 17:15:59 수정 2022-08-31 19:49:15

대구상의 지역기업 350개사 대상 조사…악화 응답비율 전년보다 소폭 늘어
올해 추석 휴무일수는 4일 가장 많아…74.3% 상여 또는 선물 지급

2022년 대구지역 추석경기 동향조사. 대구상의 제공
2022년 대구지역 추석경기 동향조사. 대구상의 제공

대구지역 기업 과반 이상은 지난해보다 올해 추석 체감경기가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31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기업 350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22~23일 조사해 발표한 '2022년 추석경기 동향'에 따르면, 응답업체 57.7%는 지난해 대비 올해 추석 체감경기가 나빠졌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악화 응답비율 56.2%보다 1.5%포인트(p)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은 32.8%였고, 호전됐다는 응답은 9.5%에 불과해 지역기업이 느끼는 경기는 전반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 경기 악화 응답비율은 건설업이 63.9%로 가장 높았고, 제조업은 56.5%로 나타났다.

체감경기가 악화했다고 답한 기업의 74.8%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내수부진을 지목한 기업은 49.0%였다.

자금사정이 나빠졌다고 응답한 기업은 57.4%였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75.0%로 가장 높았고 서비스업 57.7%, 제조업 54.4%로 나타났다.

자금사정이 악화한 원인으로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이 70.6%로 가장 높았고, 매출 감소 55.7%, 금리 인상 28.4% 순이었다.

올해 추석 휴무일수는 주말과 대체휴일을 포함해 최대 4일로 87.1%의 기업이 4일 이상 쉰다고 응답했다. 연휴 기간동안 근무하는 이유는 주문 물량 납기 준수(40.0%), 인력부족 등 내부 사정(37.7%) 때문이었다.

추석 상여금·선물과 관련해서는 응답기업의 74.3%가 상여금 또는 선물을 지급할 것으로 응답해 지난해 추석의 68.2%보다 6.1%p 증가했다. 정률상여의 평균은 기본급의 52.6%, 정액상여의 평균은 45만원으로 나타났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최근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으로 금융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원·부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경기둔화에 코로나19 재유행까지 겹쳐 어려움이 크다"며 "기업들이 추석자금을 원활히 확보할 수 있도록 자금지원 요건을 완화하는 등 현실적인 도움이 절실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