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군 통합신공항 사업 차질 불가피, 보이콧도 불사
경북 군위군의 대구 편입 법안과 관련 경북 정치권의 반대 움직임이 표면화된 가운데 9월 국회 처리 무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임이자 국민의힘 경북도당위원장은 최근 "군위 편입 시점을 두고 경북 의원들과 도민들 사이 의견이 분분하다. 통합신공항 특별법이 통과되고 신공항이 착공될 때 논의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착공도 안 된 상태에서 편입 얘기를 한다면 도민이 생각하기에 '땅도 주고 사람도 다 줬는데 얻는 게 뭐냐'라고 반문하게 된다"고 밝혀 9월 국회에서 대구 편입 법률안 처리가 어렵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임 의원의 이 같은 발언은 9월 정기 국회에서 대구 편입 법률안 처리를 학수고대하고 있는 군위군민들에게는 청천벽력(靑天霹靂)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앞서 지난 2월 김형동(당시 행정안전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의 반대로 2월 국회에서 대구 편입 법률안 처리가 무산되면서 속이 부글부글 끓었던 군위군은 이제 인내심이 한계에 도달한 분위기다.

임 의원의 발언과 경북 정치권의 이와 같은 움직임은 2024년 4월 총선을 의식한 행보로 읽힌다. 군위군이 대구에 편입되면 선거구 개편이 불가피한 데다 최악의 경우 국회의원 수도 한 자리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 착공 시기인 2025년까지 대구 편입을 유보하자는 임 의원 등 경북 정치권의 발언을 의심하고 있다.
2월 대구 편입 법률안이 무산된 이후 행정안전위원회 소위원회에서도 논의가 전혀 진행되지 않고 있어 법안 처리 자체가 아예 늦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이와 관련, 군위군은 "공항 기본계획과 실시계획 승인이 2025년으로 계획돼 있어 공항 착공은 적어도 2025년 이후에나 가능하다"며 "제21대 국회의원의 임기가 2024년 5월까지인 점을 고려하면 분명 권한 밖의 약속"이라고 지적했다.
또 "경북의 정치권이 당장 눈앞의 이익보다 모두의 합의를 존중하고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9월 국회에서 대구 편입 법률안 처리가 무산되면 강경하게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대구 편입 법률안 처리가 무산되면 올해 하반기에 예정된 전략환경영향평가, 법적 필수 사항인 주민 공청회를 열지 못하면 향후 절차는 지연될 수밖에 없다.
게다가 기본·실시설계 과정에서 공항 터 매입과 보상 절차를 위해서는 군위군과 주민들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통합신공항 건설은 대구 편입을 시작으로 보여줘야 한다. 반드시 대구광역시 군위군으로 신공항 사업의 첫 삽을 뜨겠다"면서"9월 국회에서 대구 편입 법률안 처리가 무산되면 통합신공항 사업의 차질도 불가피하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