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17일 '2022 뉴욕 홈리빙박람회'(NY NOW)에 지역 8개사 공동관 운영
코로나19 이전보다 수출상담 건수 2배, 상담액 5배 각각 뛰어

경북지역 소비재 기업들이 미국 소비 1번지 뉴욕에서 149만달러 상당 계약과 수출상담 성과를 내고 왔다.
경상북도는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4일간 '2022 뉴욕홈리빙박람회(이하 뉴욕나우·NY NOW)'에서 지역 생활용품업체 8개 사로 구성된 공동관을 운영했다.
뉴욕 나우는 1942년 시작해 약 80년 간 개최된 미국 최대의 생활용품 박람회다. 매년 세계 1천100여 기업이 부스를 꾸리고 고급 백화점이나 편집숍 대표 등 3만명의 구매자·참관객이 집결하는 소비재 전시회다.
경북도와 한국무역협회 대경본부는 지난 2019년 이 전시회에 6개사 규모 공동관을 꾸려 처음 참가했다.
이후 코로나19 유행으로 한동안 참가하지 않다가 올해 위드 코로나와 함께 미국 등 선진국 소비가 증가세를 보이자 참여사를 늘려 참가했다.
참여사는 ▷코리아에이씨씨(렌즈크리너) ▷아렌델(유아매트) ▷라사(화장품) ▷루디아(인견, 원단) ▷블리스(침구류) ▷삼성텍스(섬유원단) ▷주성산업(미용타월) ▷토브(색조화장품) 등이다.

올해 참여사들은 실 계약을 포함해 142건, 149만달러의 수출상담 성과를 냈다.
이는 코로나 확산 전인 2019년과 비교해 수출상담 건수는 2배(78→142건), 계약·수출상담액(30만→149만달러)은 5배 각각 증가한 것이다.
특히, 유아용 매트를 취급하는 아렌델은 뉴욕 현지에서 웰빙제품을 전문적으로 유통하는 업체와 8만달러에 달하는 현장 수출계약을 맺었다.
이번 계약을 체결한 현지 업체는 앞으로 화장품을 포함한 한국산 생활용품 구매를 본격적으로 확장하려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북도는 코로나 이후 지역 기업이 현장에 참가하는 첫 미국 소비재 전시회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세계 최대수입 시장인 미국 진출을 재개하는 신호탄을 쏜 것으로 평가했다.
이응원 경북도 외교통상과장은 "올해는 중국기업의 전시회 참가가 소극적인 상황에서 미국 구매자들이 한국 고급소비재에 관심이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현지 대형 유통업자들이 참가하는 실속형 전시회 참가를 확대해 지역 우수기업의 미국 등 주요시장 수출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