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세전쟁 시 올해 한국 성장률 0.5%p 하락"

입력 2025-04-23 18:02:19 수정 2025-04-23 19:23:44

씨티 '한미 통상 협상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
"미중 100% 이상 관세 부과 시 성장률 0.5%p 하락"
"내년 성장률은 2.3%p 하락 가능성… 불확실성 높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효를 하루 앞둔 8일 경기도 평택항에 화물선이 지나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발표한 조치대로 미국은 지난 5일부터 전 세계 국가에 기본관세 10%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다 한국(25%), 중국(34%)을 비롯해 미국이 이른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효를 하루 앞둔 8일 경기도 평택항에 화물선이 지나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발표한 조치대로 미국은 지난 5일부터 전 세계 국가에 기본관세 10%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다 한국(25%), 중국(34%)을 비롯해 미국이 이른바 '최악 침해국'으로 분류한 국가에 대한 국가별 상호관세는 오는 9일 발효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서로 100% 넘는 관세를 부과하면 올해 한국 성장률이 약 0.5%포인트(p) 하락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 씨티그룹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미 통상 협상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씨티는 보고서에서 ▷미국이 한국에 10% 상호관세, 미중 간 100% 넘는 상호관세 유지 ▷미국이 한국에 25% 상호관세, 미중 간 100% 넘는 상호관세 유지 ▷미국이 한국에 10% 상호관세, 미국이 중국에 60% 상호관세 부과(보복 관세 없음)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했다.

통상 협상에 따른 관세 충격이 한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국과 중국이 올해 2분기부터 서로 100% 넘는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 올해 한국 성장률은 0.5%p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우리나라에 부과하는 상호관세가 기존 25%에서 기본관세 수준인 10%로 15%p 낮아지더라도 실효 관세율 하락은 6.7%p(20.7%→14.0%)에 그친다. 한국의 대미 수출 가운데 34%를 차지하는 자동차·부품이 25% 품목관세를 적용받기 때문이다.

세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성장률 타격이 줄어든다. 씨티는 시나리오 3에서 관세 충격으로 인한 한국 성장률 영향을 올해 -0.2%p, 내년 -0.9%p로 추산했다. 내년 성장률의 경우 시나리오 1에서 2.2%p, 시나리오 2에서 2.3%p 낮아진다고 봤다. 앞서 씨티는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8%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제시한 바 있다.

김진욱 씨티 연구원은 "관세 충격 영향을 올해 성장률 전망에는 일부 반영했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에는 거의 반영하지 않았다.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미 간 통상 협상이 성공적으로 끝나더라도 미중 간 갈등이 계속된다면 관세가 성장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완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