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농업대전환' 선언..."농업현장에 4차산업혁명 기술 융합"

입력 2022-08-16 16:54:46 수정 2022-08-16 20:43:13

17일 경북 농업대전환 추진위 출범…공동위원장엔 김재수 전 장관, 김홍국 하림 회장, 손재근 경북대 명예교수
농정, 스마트농업, ICT·메타버스, 기업경영 등 16개 분야 전문가 72명이 농촌 재구조화·첨단화 자문

경북도가 지역 농업 현장에 4차 산업혁명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고 생산성을 드높이는 정책
경북도가 지역 농업 현장에 4차 산업혁명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고 생산성을 드높이는 정책 '농업대전환'을 시작한다. 지난 6월 16일 열린 경북도 민선 8기 농정비전 선포식 모습.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가 농업 현장에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농업대전환'을 꾀한다. 농업인구 고령화와 생산성 저하 등 농촌의 고질병을 작물·가축 생산능력과 관련 기술을 대폭 키우는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넘겠다는 포부다.

경북도는 17일 오전 '경북 농업대전환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를 출범하고 전국에서 처음으로 농업 현장에 4차 산업 신기술을 접목한 농업대전환 계획을 발표한다.

경북도는 앞서 지난 6월 농정비전 '농업은 첨단산업으로, 농촌은 힐링공간으로'를 선포했다. 1차 산업혁명 산물이라 할 수 있는 농업에 4차 산업혁명 시대 첨단 기술을 도입, 현재 한계점에 도달한 농업에 '규모의 경제 실현'이라는 혁신을 이끈다는 것이다.

경북 농업은 전국에서 농업소득이나 생산량 등에서 비춰 모두 전국 1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농업인구 고령화와 거주인구 감소라는 고질적 문제로 노동력과 미래 성장동력을 잃어가는 처지다.

기후변화 등 자연재해도 잇따르는 만큼 식량안보를 지키려면 기존 농작법을 넘어설 기술융합이 시급하다고 경북도는 내다봤다.

상주스마트팜혁신밸리를 견학하고 있는 청년들. 매일신문 DB
상주스마트팜혁신밸리를 견학하고 있는 청년들. 매일신문 DB

이런 계획의 하나로 최근 경북도는 '경북 디지털 혁신 농업타운' 사업지를 공모해 마을 전체를 하나의 법인처럼 만들고 스마트팜, 수직농장 등 첨단 농업을 도입한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스마트팜은 IoT(사물인터넷)와 빅데이터·인공지능·로봇 등 기술을 접목해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원격과 자동으로 적정하게 유지관리해 주는 농장을 이른다.

수직농장은 여러 층으로 쌓은 다단의 실내구조물에서 환경을 조절해주는 자동화시스템으로 작물을 키워 생산량과 품질을 높이는 형태의 경작지다.

경북도는 이 같은 농업대전환 정책을 구체화하고자 이번 추진위 출범을 계획했다.

추진위는 김재수 전 농림축산식품부장관과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손재근 경북대학교 농산업학과 명예교수를 공동위원장으로 한다.

또 농업정책, 스마트농업, ICT·메타버스, 기업경영 등 16개 분야에 민‧관‧산‧학 전문가 72명의 각계 전문가가 농촌공간 재구조화와 경북농업 첨단화에 필요한 정책 아이디어를 제공할 예정이다.

추진위는 우선 1년가량 농촌대전환 역점 시책 23개 관련 정책과 아이디어를 자문하고 개발할 계획이다. 이어 국내외 청년농 선진농업지를 벤치마킹하고 식량안보 추진협의회와 정책자문관제를 도입하는 등 관련 정책발굴에 필요한 활동을 이어나간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농업인 개개인의 역량을 키우거나 전통 농업지역에 도시 출신 청년농을 유입하는 것은 이제 한계에 다다랐다. 혁신 기술과 공동영농체계를 도입해 첨단화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다면 봉착한 문제 해결을 넘어 폭발적인 성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