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이르면 16일 비대위원 구성을 매듭지을 전망이다. 이준석 전 대표가 비대위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낸 터라 다소 어수선하다. 그럼에도 담담히 갈 길을 가야 한다. 물가 상승세와 고금리로 국민들의 생활이 호락호락하지 않다. 환율 압박에 수출 기업들도 아우성이다. 북한의 위협도 가중하는 상황이다. 잠시 쉬어 갈 수도 없을 만큼 국내외 사정이 여유롭지 않다.
주호영 비대위원장은 '혁신형 관리 비대위'를 선언했다. 그러나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다. 전당대회 시기, 비대위원 명단에 따라 정치적 셈법이 달라질 수 있어서다. 낙관적이지 않지만 비대위가 가야 할 길은 명확하다. 비상 상황이라는 것이다.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데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 그렇기에 우선순위 해결에 부합하는 인물이라면 비대위원에 마땅히 포함돼야 한다. 비대위원에 대한 불신으로 또다시 당을 흔드는 건 혼란만 부추길 뿐이다. 전권을 비대위원장에게 맡긴 만큼 믿고 나갈 필요가 있다.
전당대회 시기도 안정세를 회복한 뒤 조율할 부분이다. 저마다 목소리를 키우면 갈등의 뇌관만 커진다. 공멸의 수순을 밟게 된다. 자연스레 경계할 것은 자기 정치와 세몰이다. 당의 존멸을 걱정할 때 정치적 사욕이 앞서면 실책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이준석 전 대표에게 대화의 문을 두드리는 것도 멈춰선 안 된다. 이보다 더 악화되기도 쉽지 않다. 헤어질 결심만 남은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어도 얼굴을 맞대면 사정은 달라질 수 있다. 정치가 생물로 불리는 까닭이다.
무엇보다 비대위는 '쇄신'을 금과옥조처럼 여길 필요가 있다. 정권은 잡았지만 민심이 떠난다는 걸 수치로 확인했다. 쇄신책과 민생 해법이 나와야 한다.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데 전력투구해야 민심이 돌아온다. 국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어야 한다. 국민의 목소리를 가까이에서 들으려 힘쓰는 것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현재 상황이 총체적 비상 상황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겠지만 꼬인 상황을 풀려는 노력에 소극적일 필요도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