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기후변화·탄소중립 대안은? "보다 구체적이고 세심하게 다듬어야"

입력 2022-08-02 15:26:41 수정 2022-08-02 22:29:25

'2050 탄소중립' 목표… 이행과제 치밀하게 다듬을 필요
‘고탄소업종’ 비중 높은 대구, 재생에너지 보급 산업단지 늘려야
전문가가 비전 제시하고, 지자체는 ‘인센티브’로 시민행동 유도

대구시 탄소배출 저감 대시민 홍보 포스터. 대구시 제공
대구시 탄소배출 저감 대시민 홍보 포스터. 대구시 제공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가 눈앞에 닥쳐오면서 대구시도 탄소중립 이행과제를 정교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 분야에서 탄소배출량이 많은 업종을 첨단산업으로 전환하는 한편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자체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자는 것이다.

대구시의 경우 2050년 탄소배출을 100% 감축한 '탄소중립' 도시를 만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시는 2017년부터 기후변화 전문직위제를 전국 최초로 도입했고 2019년 기후변화 대응 조례를 제정했다.

지난해에는 '2030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에 따른 연차별 감축사업 이행점검 결과를 내놨다. 시는 배출 전망치 대비 11% 감축을 통해 목표(9%)를 초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탄소중립 대응에 대한 구체적인 이행 과제와 세부계획은 가다듬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통합형 탄소중립 거버넌스 구축, 민간 부문의 참여 확산, 과감한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설홍수 대구경북연구원 경제일자리연구실 연구위원은 "대구는 교통 등 시민들의 참여가 중요한 분야의 탄소 배출량이 많기 때문에 에너지절감 건축물이나 대중교통 이용 등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구는 전국 특·광역시 중에서 탄소 배출량이 많은 '고탄소업종' 비중이 높은 만큼 에너지 효율이 높은 산업구조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며 "첨단산업 구조 형태로 가거나 재생에너지 보급 산업단지 등을 늘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기적으로 전문가 집단이 끊임 없이 목표를 제시하고 시민들의 행동을 독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현수 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장은 "기후변화를 막을 수 없다는 회의론에 맞서는 핵심은 연대의식"이라며 "전문가들은 목표를 달성했을때 수반되는 변화를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도시 차원에서 시민들의 행동을 만드는 문화를 형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