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유행 정점 빨라졌다 "9~10월 예상…하루 신규 확진자 최대 20만명"

입력 2022-07-13 11:28:51 수정 2022-07-13 11:33:44

질병청, 전파율 따라 세 가지 시나리오 구분 분석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이 13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 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재유행 대응방안과 관련한 권고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이 13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 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재유행 대응방안과 관련한 권고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재확산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오는 9월 확진자 규모가 정점에 이르고 하루 신규 확진자는 최대 2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은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방역대응 방안'을 발표하고 이 같이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전파율에 따라 세 가지 시나리오로 구분해 정점 시기와 유행 규모를 예측했다.

전파율 31.5%를 기준 시나리오로 잡고 이 경우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7월 말 3만명 ▷8월 말 11만1천800명 ▷9월 말 18만2천300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준 시나리오에서 정점 시기는 9월 26일이고, 최대 확진자 수는 18만4천700명이다.

전파율이 41.5%일 경우 정점 시기는 앞당겨지고 확진자 규모는 더욱 커져 9월 16일 20만6천600명을 찍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전파율이 21.5%일 경우에는 정점 시기가 기준보다 늦춰지고 규모는 작아져 10월 10일 16만4천700명에서 정점을 이룬다는 예상이다.

질병청은 정점 시기인 9월 말~10월 중순 위중증 환자는 최대 1천200명~1천450명이며 사망자 수는 90~100명 가량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4월 하반기 재유행 시기를 11월 중으로 내다봤으나 당초 예상보다 재유행 시기가 빨라졌다.

질병청은 "예방접종 뒤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이 떨어지는 시기가 왔고, 면역 회피가 큰 BA.5 변이 우세화로 당초 예상보다 조기에 유행이 발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