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먹는 하마'처럼 바다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

입력 2022-07-13 15:40:30 수정 2022-07-13 18:13:23

포스텍 이기택·김자명 연구팀 밝혀
북동중국해 해역 CO2 제거 덕분에 우리도 약 2천만t CO2 사라져

포스텍 이기택 교수
포스텍 이기택 교수
포스텍 김자명 연구조교수
포스텍 김자명 연구조교수

제습제로 유명한 '물 먹는 하마'의 기능처럼, 바다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맑은 공기를 만들어준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포스텍(포항공대) 환경공학부 이기택 교수·김자명 연구조교수 연구팀은 국립해양조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립수산과학원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북동중국해 해역에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사라지는 이유를 찾아냈다.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마린 사이언스'에 최근 발표됐다.

북동중국해 해역의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국토 최남단인 마라도에서 남서쪽으로 약 150km 떨어진 수중 암초에 설치돼 있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의 한 가운데 위치한 이곳은 동북아시아 대기 환경 분석과 미래 해양환경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다.

연구팀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7년간 관측한 해양 탄소 분석을 토대로, 봄·여름철 해양표층에 사는 식물 플랑크톤이 급증하는 현상에 대해 주목했다.

이 현상은 4~8월 중국 양쯔강에서 식물 플랑크톤의 먹이인 영양염(수중 미생물의 생육과 증식에 필요한 무기성 원소)이 대량으로 흘러들어오기 때문에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해양표층 탄소농도가 줄면서 대기중 이산화탄소가 바닷속으로 더 많이 흡수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도 해양의 이산화탄소 흡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급격히 수온이 떨어지고 바람이 세게 불면서, 해양 표층의 이산화탄소 용해 반응과 대기-해양 간 기체 교환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발생한 현상으로 풀이된다.

쉽게말해 여름엔 식물 플랑크톤, 겨울엔 매서운 바람이 북동중국해 해역의 대기 이산화탄소를 제거해준다는 얘기다.

실제로 이 지역 이산화탄소의 순 흡수량 덕분에 우리나라 배타적 경제수역 해역 내에서도 연간 약 2천만t(톤)의 이산화탄소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연안의 얕은 해역에서 흡수된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인근 대양의 심층으로 이동하면, 해양이 한층 효과적으로 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증명해 준 결과물"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