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면 5개입, 이마트 3천670원, 다른 곳 3천680원
고물가에 소비심리 위축되자 유통업계 자구책
"우리가 10원 더 싸요."
이마트는 신라면 5개입을 7일 현재 3천670원에 팔고 있다. 같은 날 3천680원에 팔고 있는 롯데마트·홈플러스·쿠팡(로켓배송)과 비교할 때 '10원' 더 싸지만, '업계 최저가'다. 코카콜라(1.8ℓ), 서울우유(1ℓ), CJ햇반(201g·12입) 등도 가격을 내렸다. 화장실용 방향제 페브리즈(2입)와 칫솔 메디안듀얼이팩션칫솔(5입)은 30~50% 정도 가격이 인하됐다. 이마트가 지난 4일부터 '40대 필수상품군'을 선정해 대표 상품을 '업계 최저가'로 팔겠다면서 생긴 변화다.
◆초저가 전쟁이 뭐길래
'초저가 전쟁'이 시작됐다. 물가 상승으로 지갑을 닫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한 명의 손님이라도 붙잡으려는 유통업계의 시도다.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새롭게 촉발된 초저가 전쟁은 마트가 선언한 뒤 온라인 쇼핑몰과 편의점이 뒤이어 참전하는 모양새다.
업계 최저가의 포문을 연 건 이마트다. 이마트는 지난 4일 자료를 내고 '40대 필수상품군'을 선정해 대표 상품을 업계 최저가로 팔겠다고 했다. 40대 필수상품군은 우유·김치 등 가공식품 17개와 계란·양파 등 신선식품 7개, 화장지·비누 등 일상용품 16개로 이뤄졌다. 가격을 비교하는 업체 대상은 홈플러스와 롯데마트 온라인몰, 쿠팡 로켓배송이다.
호명된 유통업계들도 맞불을 놨다. 롯데마트는 '물가안정 TF'를 구성해 카테고리별 매출 상위 30%에 차지하는 생필품 500여 개 품목을 집중 관리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매주 신선·가공식품부터 주방용품의 가격 수준을 평가해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쿠팡은 '와우회원'(쿠팡 멤버십)을 대상으로 가전·생필품·패션·뷰티·식품 등 전 카테고리의 인기 상품을 골라 하루마다 특가로 내놓거나 선착순으로 팔겠다고 했다. 홈플러스는 이미 '물가안정 프로젝트'를 구성해 먹거리·생필품 등 상품군을 연중 할인에 나서고 있다.
◆고객 수요 높은 건 최저가만 팔린다
초저가 전쟁을 펼치는 이유는 고물가로 고객 수요가 높은 상품은 최저가만 팔리는 현상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명품이 많은 백화점은 "인플레이션이 오는 대로 백화점 매출은 뛰더라"고 말하는 반면, 60~70%가 식품으로 구성된 마트는 "마감 30분~1시간 전 파격 세일하는 식품코너에 몰리는 소비자들이 부쩍 늘었다"고 설명한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5월 대구 지역 백화점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6.3% 증가했지만 대형마트 판매는 8.4% 감소했다.
이마트는 코로나 위기감이 고조됐던 작년에도 전년 대비 33.1% 늘어난 3천156억원의 영업이익을 봤다. 하지만 최근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대신증권은 최근 이마트의 2분기 영업적자가 161억원으로, 적자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계절적 비수기와 온라인 플랫폼 마케팅 경쟁 등 영향이 이유다. 세계 최대 유통기업인 미국 월마트는 지난 1분기 국내외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2%, 35.3% 감소하면서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편의점도 저렴할 수 있다
최근 초저가 전쟁은 편의점도 참전하는 모양새다. 세븐일레븐은 지난달 30일 초저가 상품 브랜드 '굿민'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1차로 달걀·삼겹살·두부 등 신선식품 5종을 선보이면서, 수입 냉동 삼겹살(500g) 2종은 9천900원, 두부(300g)는 1천200원에 내놨다. 두부를 1천300~2천원에 파는 대형마트와도 가격경쟁력에서 뒤처지지 않는 수준이다.

GS25도 지난달 GS수퍼의 초저가 PB상품 브랜드인 '리얼프라이스'를 편의점에 들였다. 70여 곳 업체와 함께 300여 개 상품을 선보이면서 키친타올·위생팩 등을 20% 정도 저렴하게 판다. 이마트24는 PB상품 브랜드 '민생시리즈'를 내놓으면서 저가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500원도 하지 않은 컵라면이나 300원짜리 김 등이 대표적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식품·생필품 위주의 초저가 전쟁은 10~100원 차이를 두고 다투다 단기간에 끝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플레이션으로 유통업을 유지하기 위한 임금·에너지 등 비용이 증가하면서, 대폭적인 할인을 하거나 긴 시간 저가 전쟁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할인을 위해 납품업체 상품의 단가를 과도하게 깎는 방식은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을 내세우는 시대에 적용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