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경상수지 8천만달러 적자 집계
수출보다 수입 증가 폭이 더 큰 탓
4월 경상수지가 2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수입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상품수지 흑자가 줄어든 데다 연말 결산법인의 해외 배당 기간까지 겹쳐서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4월 경상수지는 8천만달러(약 1천5억원)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이어졌던 흑자 기조가 24개월 만에 깨졌다.
상품수지 흑자는 1년 전보다 20억달러 적은 29억5천만달러에 그쳤다. 수출(589억3천만달러)이 반도체·석유제품 등의 호조로 11.2%(59억3천만달러) 늘었으나 수입(559억8천만달러) 증가 폭(16.5%·79억3천만달러)이 더 컸기 때문이다. 특히 4월 통관 기준으로 석탄·가스·원유 등 원자재 수입액이 전년 같은 달보다 37.8% 급증했다.
서비스수지는 5억7천만달러 흑자였다. 작년 4월과 비교하면 1억3천만달러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여행수지 적자 규모(-5억9천만달러)는 지난해 4월과 같았다. 본원소득수지는 32억5천만달러 적자를 냈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4월 중 17억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7억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8천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72억달러 불었지만,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16억9천만달러 감소했다.
김영환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상품 수출은 견조한 흐름이지만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수입이 급증하면서 상품수지 흑자 폭이 크게 줄었다"며 "여기에 계절적 배당 요인이 더해져 24개월만에 처음 경상수지가 적자를 기록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