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소년 실종 사건'의 범인이 환각 상태였고, 범행 도구가 '버니어캘리퍼스'였다는 주장에 대해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가 "상당히 설득력있다"고 말했다.
지난 1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나는 개구리소년 사건의 흉기를 알고 있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사건에 사용된 흉기가 길이를 측정하는 도구인 '버니어 캘리퍼스'라고 주장했다.
또 당시 버니어 캘리퍼스를 들고 산에 올라갈 만한 이들은 공업계열 고등학생들뿐이라고 지목했다.
그는 "산속에서 여럿이 본드를 불고 있다가 올라오는 아이들을 마주쳤을 거다. 습관처럼 '뒤져서 나오면 몇 대' 이런 식으로 돈을 뜯으려고 했을 거다"라며 "(버니어 캘리퍼스로) 이미 머리를 여러 대 맞은 아이는 피를 미친 듯이 흘렸을 거고, 다른 아이들도 보고 있고, (본드 때문에) 환각 상태고, 그냥 집단으로 달려들어서 아이들을 살해한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상당 부분 신빙성이 있다고 인정했다.
이 교수는 7일 KBS 방송에 출연해 "저는 사실 좀 감동을 받았다. 둔기로 사망한 사람들의 사진을 보면 저렇게 안 된다. 둔기는 일단 끝이 무뎌 파손 범위가 크다. (개구리소년 피해 아이들의 두개골을 보면)조각도 여러 조각이다. 모든 두개골 함몰 부위가 '콕콕' 찍혀있다"며 "버니어캘리퍼스의 날카로운 끝처럼 보일 수 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완전 치명적이지 않지만, 저 정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흉터에 부합되는 흉기가 아닐까 한다"고 했다.
범인이 환각 상태였을 것이란 주장에 대해서도 " 다섯 명을 이 지경으로 만들려면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동안에는 이런 범행을 하기 어렵다"며 "(피해자인) 애들이 고성을 지를 테니까 이성을 유지하면서 여러 번 (상해를) 입히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이 사람이 제기한 게 본드였다. 이게 근거 없다고 할 수 없는 게, 요즘엔 본드를 안 하는 데 1991년엔 비행 청소년이 어떤 죄명이 많았냐면 본드였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당 글쓴이를 찾아 설명을 좀 더 들을 필요성도 제기했다.
다만 글쓴이를 사건의 관련 인물로 단정 짓는 건 성급하다며 "글을 올린 의도부터 조사가 필요하다. 유가족을 위해서라도 지속되는 의혹을 해명하는 것이 도리다. 유가족에게 글쓴이가 자신의 가설을 추가로 설명 드리는 등 협조를 당부드린다"라고 요청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이런 정보가 올라오는 거 보면, 우리가 한 번쯤은 조사하는 노력을 해볼 필요가 있다"라며 "버니어 캘리퍼스로 실제 아이들 두개골에 남은 흔적들이 재현되는지 (확인)하는 건 지금의 과학수사 기법으로 충분히 실험해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