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국가유공자 격상 검토

입력 2022-05-18 09:12:27

무공훈장 수훈자, ·순직·전상 군경 등과 같은 대우
국힘' 서진정책' 일환으로 풀이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광주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를 직접 퇴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광주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를 직접 퇴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를 국가유공자로 격상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5·18 유공자는 무공훈장 수훈자, 등과 같은 대우를 받게 될 전망이다.

18일 한국경제 보도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최근 5·18 공법단체들과 정책간담회를 열고 5·18 유공자를 국가유공자에 포함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서 5·18 단체들은 이날 간담회에서 국가유공자 지정을 비롯해 9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관련 부처와 상임위원회 검토를 통해 입법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는 최근 국민의힘이 강조하는 '서진 정책(호남 끌어안기)'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18일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의원들은 광주에서 열리는 5·18 민주화운동 42주년 기념식에 참석한다. 일부를 제외한 의원 전원이 서울역에서 KTX 특별열차를 타고 기념식이 열릴 광주로 향할 예정이다. 기념식에서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 형식으로 부를 계획이다. 보수 정당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다.

한편 국가보훈처는 5·18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다가 사망 또는 행방불명된 사람이나 장해등급 14급 이상인 부상자를 '5·18 민주유공자'로 지정하고 있다. 국가유공자에는 무공훈장 수훈자, 순직·전상군경을 비롯해 4·19혁명 사망·부상·공로자와 6·25 참전 재일학도 의용군인 등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