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수 같은 달 기준 22년 만에 최대폭 증가…제조업 고용도 호조
코로나 영향으로 숙박·음식업 취업자 2만7천명↓·도소매업 1만1천명↓
1∼17시간 단기 근로자 8만3천명↑
지난달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80만명 늘게 늘면서 같은 달 기준 22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다만 늘어난 일자리의 상당부분이 고령층 일자리인 데다 정부가 세금을 투입한 공공 일자리도 적잖아 고용의 질은 오히려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07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86만5천명 늘었다. 4월 기준으로 2000년(104만9천명) 이후 22년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증가 폭은 취업자 수가 100만명 넘게 늘었던 올해 1월(113만5천명), 2월(103만7천명)보다는 작지만, 3월(83만1천명)보다는 커졌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42만4천명) 고령층 일자리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증가분 가운데 고령층 일자리가 거의 절반을 차지한 것이다.
이외 50대(20만8천명), 20대(19만1천명), 30대(3만3천명), 40대(1만5천명)에서도 일제히 취업자가 늘었다.
업종별로는 정부가 세금을 투입한 직접 일자리 사업이 포함되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23만명)·공공행정(9만1천명) 등의 취업자가 눈에 띄게 늘었다.
제조업(13만2천명)의 경우 수출 호조가 이어진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2015년 11월(18만2천명) 이후 6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만 코로나19의 타격이 이어지며 도소매업(-1만1천명)과 숙박·음식점업(-2만7천명)은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감소했다.
실업자 수는 86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28만3천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3.0%로 1.0%포인트 떨어지며 집계 기준이 변경된 1999년 6월 이래 4월 기준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29만1천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37만6천명 감소했다.
육아나 가사 등을 하지 않고 그냥 쉰 '쉬었음'(-15만2천명) 인구와 구직단념자(-20만5천명)도 함께 줄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수출 호조와 산업의 비대면 전환으로 고용 증가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불확실성이 많고 우크라이나 사태 등 국제 정세도 불안하기 때문에 5월 고용을 전망하긴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