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은 상존…모니터링 강화"
미국 통화당국이 0.50%포인트(p) 금리 인상(빅 스텝)과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를 결정했지만 전 세계적인 충격은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은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한다"고 밝혀 안도감을 나타냈다.
애초 빅 스텝을 뛰어넘는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까지 예상한 데다 시장이 빅 스텝 가능성을 선반영한 탓이다. 더욱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을 일축하면서 덜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이라는 분석이 나와서다.
앞서 연준은 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 결과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연 0.75∼1.0%로 높아졌다.
이번 인상폭은 2000년 5월 이후 22년 만의 최대로 시장 예상과 일치한다.
연준은 다음 달 1일부터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를 시작한다. 연준이 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국채, 정부기관 채권, 정부 기관 MBS(주택저당증권) 보유량을 줄여나가겠다는 뜻이다.
파월 연준 의장은 "75bp(0.75%포인트) 인상은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대상이 아니다"라고 선을 긋고 일각의 경기침체 전망을 부인하며 "연착륙할 가능성이 높다"고 자신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이 예상보다 덜 매파적이라는 평가가 나오면서 뉴욕증시는 급반등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3.19% 급등했으며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2.8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3% 가까이 올랐다. S&P 500지수와 다우 지수 상승 폭은 각각 2020년 5월 이후, 2020년 11월 이후 최대다. 가상화폐 비트코인 가격도 5% 넘게 급등한 반면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4bp, 달러인덱스는 0.92% 각각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국내 증시도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에 눌려 있던 투자심리가 다소 풀리면서 안도감을 드러낼 것으로 관측했다.
시장에서 기대하던 0.50%포인트 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 시작 정도는 선반영 된 부분이 있어 국내 증시도 큰 움직임 없는 일종의 안도 랠리나 소강상태 정도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한은은 이날 오전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시장 상황 점검 회의(화상회의)를 열고 "다소 비둘기(통화완화 선호)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도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과 연준의 연속적 0.5%포인트 인상 전망 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은 상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부총재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장기화, 중국 경제성장 둔화 등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도 큰 상황"이라며 "대외 리스크(위험) 요인의 전개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고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철저히 점검해달라"고 회의 참석자들에게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