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 자이언트 아닌 빅스텝…한국은행 "예상에 부합"

입력 2022-05-05 16:30:24 수정 2022-05-05 19:18:31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은 상존…모니터링 강화"

제롬 파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4일(현지시간) 워싱턴DC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준은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을 발표하고 현재 0.25~0.5%인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제롬 파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4일(현지시간) 워싱턴DC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준은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을 발표하고 현재 0.25~0.5%인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미국 통화당국이 0.50%포인트(p) 금리 인상(빅 스텝)과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를 결정했지만 전 세계적인 충격은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은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한다"고 밝혀 안도감을 나타냈다.

애초 빅 스텝을 뛰어넘는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까지 예상한 데다 시장이 빅 스텝 가능성을 선반영한 탓이다. 더욱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을 일축하면서 덜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이라는 분석이 나와서다.

앞서 연준은 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 결과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연 0.75∼1.0%로 높아졌다.

이번 인상폭은 2000년 5월 이후 22년 만의 최대로 시장 예상과 일치한다.

연준은 다음 달 1일부터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를 시작한다. 연준이 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국채, 정부기관 채권, 정부 기관 MBS(주택저당증권) 보유량을 줄여나가겠다는 뜻이다.

파월 연준 의장은 "75bp(0.75%포인트) 인상은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대상이 아니다"라고 선을 긋고 일각의 경기침체 전망을 부인하며 "연착륙할 가능성이 높다"고 자신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이 예상보다 덜 매파적이라는 평가가 나오면서 뉴욕증시는 급반등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3.19% 급등했으며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2.8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3% 가까이 올랐다. S&P 500지수와 다우 지수 상승 폭은 각각 2020년 5월 이후, 2020년 11월 이후 최대다. 가상화폐 비트코인 가격도 5% 넘게 급등한 반면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4bp, 달러인덱스는 0.92% 각각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국내 증시도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에 눌려 있던 투자심리가 다소 풀리면서 안도감을 드러낼 것으로 관측했다.

시장에서 기대하던 0.50%포인트 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 시작 정도는 선반영 된 부분이 있어 국내 증시도 큰 움직임 없는 일종의 안도 랠리나 소강상태 정도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한은은 이날 오전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시장 상황 점검 회의(화상회의)를 열고 "다소 비둘기(통화완화 선호)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도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과 연준의 연속적 0.5%포인트 인상 전망 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은 상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부총재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장기화, 중국 경제성장 둔화 등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도 큰 상황"이라며 "대외 리스크(위험) 요인의 전개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고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철저히 점검해달라"고 회의 참석자들에게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