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경 영남신학대 기독교 영성학 교수
내가 사는 경산의 봄은 아름답다. 들과 길가엔 온갖 꽃들이 피고 진다. 먼 산엔 겨울옷 갈아입는 나무들의 모습이 장관이다. 많은 이가 봄이 어서 지나갈까 마음 졸이며, 발걸음을 재촉한다. 우리 마음에는 아름다움을 아름답게 볼 수 있는 눈이 있어 행복하다.
그런데 연일 방송에서 흘러나오는 뉴스, 신문 지면에 박혀 있는 세상사는 세기말 같은 느낌이다. 러시아가 자행한 우크라이나 전쟁과 학살, 풍요의 극치를 달리는 한국 사회의 온갖 비극적 사건, 정치권의 오만무도(傲慢無道)함. 한 하늘 아래, 다른 두 세계가 존재하는 것만 같다. 세계를 바라보는 눈이 달라도 너무 다르다. 우리가 제대로 된 길을 걸어가고 있는지 의문이다.
연암 박지원 선생의 글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스무 해 넘게 장님으로 산 한 청년이 있었다. 얼마나 답답했겠는가. 그런 그가 어느 날 길을 가다 갑자기 눈을 뜨게 됐다. 기쁨에 들뜬 채 집으로 돌아가려고 했다. 그렇지만 자기 집을 찾을 수 없었다. 골목엔 갈림길도 많고, 대문도 똑같아 도무지 자기 집을 찾을 수가 없어 그 청년은 그만 그 자리에 서서 울고 말았다. 그 때 지나가던 현자의 조언에 따라 도로 눈을 감고, 지팡이를 더듬자, 그제서야 자기 집을 찾을 수 있었다. 눈을 떴다고 해서 모든 것이 보이는 것도, 찾던 길을 찾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어떨 때는 오히려 육신의 눈을 감을 때, 마음의 눈이 열려 보다 명징하게 보일 때가 있다. 마음의 빛이 사라지고, 마음의 눈이 굳게 닫히면 망상을 좇다 인생을 망칠 수 있다.
우리가 잘 아는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은 1980년대 대표적인 소설이다. 에코의 이름에 걸맞게 우리말 번역도 여러 권이 있을 정도다. 이 책은 이탈리아 북부 멜크(현 오스트리아) 수도원에서 일어난 연쇄 살인을 추적하면서 '진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과 답을 찾아가는 작품이다. 이 책에서 늙은 수도사 호르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2권 희극 편을 수도원 장서관에 숨겨놓고, 그 책에 접근하는 수도사들을 한 명씩 살해한다.
그 늙은 수도사 호르헤는 왜 이 책에 접근하는 젊은 수도사들을 차례로 죽일 수밖에 없었을까. 그는 인간의 '웃음이 신의 권능을 부정한다'고 굳게 믿고 있었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에는 '웃음이 우리의 삶을 바람직하게 한다'고 돼 있었다. 그는 자신이 믿는 그 진리가 한 부분이라도 훼손돼서는 안되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에 접근하는 수도사들을 모조리 살해한 것이다. 이 책은 진리에 대한 과신과 맹신이 얼마나 위험한지, 마음에 무엇을 품으며, 무엇을 믿느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준다. 사람은 그 마음에 품은 것이 밖으로 나오게 돼 있고, 믿음이 행동으로 옮겨지게 돼 있다.
우리는 모두 각자 마음의 눈에 따라 세상을 바라본다. 그래서 저기에 무엇이 놓여 있는가 보다 그것을 어떻게 보느냐가 더 중요한 것이다. 그렇지 않은가. 모두가 봄을 노래하지만, 우리가 그저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인다고, 자연에 순응한다고 기쁨이 찾아오지는 않는다. 자연에 따른다고 무조건 옳은 것도 아니고, 그것이 아름다움도 아니다. 자연의 아름다움은 우리 안에 있는 자연의 목소리를 듣는 데 불과하다.
우리가 갈구하는 좋음도 기쁨도 결국엔 우리 자신의 깊은 내면에서 나온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좋음은 인간의 창조적 자기 초월을 통해 일어나는 내면의 현상일 뿐이다. 우리 안에서 우리를 초월하는 하나님의 형상이 이 세상을 '좋음'과 '아름다움'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끊임없이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내면의 빛이신 그분에게 눈을 떠야 하는 것이다.
"선생님, 내가 다시 볼 수 있게 하여 주십시오."(마가복음10:51)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