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석 민주당 의원, 경북대서 답변 받아 "2016년 4월 논문 20%, 8월 논문 10% 참여"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22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충정로 사옥에 마련된 국회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 입장문을 읽기 위해 안경을 쓰고 있다. 정 후보자는 아들에 대해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재검증을 한 결과 2015년 4급 판정 사유와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아들 정모(31) 씨가 경북대 의대 편입 평가 때 제출한 공동 저자 논문 2건의 본인 참여율이 최대 20% 정도인 것으로 파악됐다.
경향신문 24일 보도에 따르면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정 후보자 아들의 논문 기여도 등을 문의한 데 대해 경북대는 "본교 연구업적시스템에 등록된 논문 2건에서 정 씨의 참여율은 (각각) 20%, 10%로 확인된다"고 답했다.
정 씨는 지난 2018년 경북대 의대 편입 특별전형에 응시하면서 공저자로 참여한 논문 2건을 주요 경력으로 제출해 합격했다.
정 씨는 당시 이력에 ▷2016년 4월 전자공학회지에 실린 논문 '사물 인터넷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oneM2M기반 ISO/IEEE 11073 DIM 전송 구조 설계 및 구현'(제3저자) ▷같은 해 8월 논문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CoAP 기반의 신뢰성 있는 이동성 관리 방법'(제4저자) 등을 기재했다.
경북대에 따르면 정 씨가 이름을 올린 2016년 4월 논문에서 정 씨 참여율이 20%, 8월 논문의 참여율이 10% 수준으로 각각 파악됐다.
정 씨는 두 편의 논문 공저자들 중 유일한 학부생이었다.
정 씨는 당시 편입학 제출 서류에 "선배들이 놀랄만한 새로운 아이디어도 제안했다"며 "연구원으로 당당히 참여해 두 편의 논문에 연구자로 이름을 올렸다"고 썼다.
정 씨는 당시 논문 바탕이 된 경북대 U-헬스케어 융합네트워크 연구센터의 '수요연계형 데일리 헬스케어 실증단지 조성사업'에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했다.
경향신문은 당시 정 씨의 연구참여율은 30%로, 참여 연구원 15명 평균(50%)에 미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경북대 측은 "(논문) 저자의 역할 및 상세 내용 등은 소관 위원회에서 조사해 판단할 내용으로 확인된다"고 밝혔다.
앞서 정 씨가 이름을 올린 논문 두 편은 '짜깁기' 수준이라는 의혹도 나온 상황이다.
정 씨가 2016년 4월 저자로 참여한 논문 경우 2015년 6월 제출된 경북대 전자공학부 중국인 유학생 A씨의 석사논문 상당 부분을 번역해 옮긴 것으로 확인됐다.
또 2016년 8월 논문은 다른 공저자로 이름을 올린 B씨의 2014년 박사학위 논문을 요약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