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농·특산물 원산지 부정유통 행위 집중 점검 결과
원산지 불명의 사과를 경북 청송군 특산물인 '청송사과'로 속여 팔아 17억여원을 챙긴 이들이 적발됐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북지원(경북농관원)은 원산지 표시법 위반 등 혐의로 안동지역 농업회사 대표이자 도매시장 중매업자인 A씨 등 4명을 수사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A씨는 지난해 3월부터 가짜 청송사과를 도매시장에서 낙찰받은 뒤 전국 유명 도매시장과 온라인 홈쇼핑 등을 통해 총 118t(2억7천만원)을 유통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청송사과 로고가 적힌 상자 2만5천여 개를 불법 제작, 일명 '박스갈이' 작업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다른 농업회사 대표 B씨는 지난해 1월부터 가짜 청송사과를 전국 유명 도매시장 등에 114t(3억8천만원) 유통한 혐의를 받는다.
가공업자 C씨는 가짜 청송사과즙과 중국산 원료를 사용한 과일주스 등 총 94.7㎏(10억5천만원)을 시중에 팔았고, 농업인 D씨는 가짜 청송사과 23t(4천만원)을 시중에 판매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로 모르는 사이인 이들 3명은 A씨 등으로부터 가짜 청송사과를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 첩보를 입수한 농관원이 확인한 유통량만 총 350여t, 금액은 17억여원에 이른다.
경북농관원은 지역특산물인 청송사과의 경우 가격대가 높고 많은 양이 쉽게 거래되는 점 등으로 인해 이 같은 일이 벌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일반 시민들이 육안으로 원산지와 가짜상자를 구별해내기 어렵다.
경북농관원은 이번 사건이 청송사과를 두고 도매시장 중도매인, 유통인, 농업인, 가공업자까지 연루된 토착 비위 행위로 보고 추가 범죄를 밝히기 위해 수사하고 있다. 주요 피의자 2명에 대해서는 구속 영장도 신청했다.
원산지 표시법을 위반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경북농관원 관계자는 "청송사과는 지리적 표시 등록으로 관리되는 대표적인 지역특산물"이라며 "소비자 선호도와 가격이 높아 생산지를 속이는 일이 있어 철저히 감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자체에 등록된 판매처에서 특산물을 구매하는 게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이라며 "온라인을 이용할 때는 원산지와 출고지가 같은지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