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노트북·액체류 가방째 검색
비행기 탑승 시 현재 1인당 평균 37초 소요되는 보안검색 시간이 2027년부터 7초로 줄어든다. 또 탑승객이 노트북이나 액체류 등을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 걸어가기만 하면 검색이 이뤄진다.
국토교통부는 항공보안과 관련한 5년 동안의 정책을 담은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2022~2026)'을 수립·확정했다고 12일 밝혔다.
항공보안 계획은 공항·항행안전시설 및 항공기 내에서의 불법행위를 방지하고 민간항공의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 5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3차 계획에는 ▷예방적 항공보안체계 구축 ▷첨단장비 개발 등 항공보안 기술 혁신 ▷이용자 중심의 보안검색 서비스 제공 ▷국제 활동 적극 참여로 글로벌 리더십 강화 등 4개 전략 목표와 31개 세부 실행 과제를 담고 있다. 모두 3천13억원을 투입한다.
먼저 예방적 보안체계 구축과 관련,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국가 간 분쟁에서 사이버 공격이 활용되고 해킹기술이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어 공항, 항공기 등에 대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정부와 관계기관에 나눠져 있는 항공 보안정보를 통합하고, 서면으로 관리되고 있는 감독 활동과 보안 사고 현황을 디지털화해 대응전략을 수립한다. 아울러 국내외 테러동향 분석 및 군·경 등과 협업을 위한 테러대응 전담인력 확보, 항공 사이버보안 전문가 육성을 통한 항공보안 인력 전문성 강화 등을 하기로 했다.
특히 항공기 탑승을 위해 실시하는 보안검색이 더욱 편리해진다. 자연스러운 보행 상태에서 검색이 완료되는 방식(Walk Through)의 장비를 개발해 검색 시간을 현재 37초에서 7초로 간편하게 마무리한다. 노트북이나 액체류 등은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도 검색을 할 수 있도록 첨단 보안장비 도입에 1천213억원을 투자한다.
도심항공교통(UAM) 등 새로운 교통수단에 대한 보안검색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첨단장비 개발 등 항공보안 기술 혁신 방안도 마련한다. 인공지능(AI), 테라헤르츠(THz)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보안검색 장비를 개발하는데 5년 간 499억원을 투자하고, 김해 등 주요 공항에 드론탐지·추적시스템을 구축해 불법 드론 무력화에 나선다.
또 환승객과 환적 수하물 검색 면제, 탑승 절차 간소화 등 승객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미국 등 외국 항공당국과 보안수준 상호인정 확대를 추진하기로 했다.
김용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항공보안은 국민의 안전을 위해 타협할 수 없는 중요한 분야"라며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항공보안을 선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국가 항공보안체계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