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다 새책] 아이들은 왜 산에 갔을까

입력 2022-04-07 10:26:50 수정 2022-04-09 08:08:12

김재산 지음/ 국민일보 펴냄

개구리소년사건 발생 31주기를 맞은 지난달 28일, 대구 달서구 와룡산 선원공원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유족들이 헌화를 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개구리소년사건 발생 31주기를 맞은 지난달 28일, 대구 달서구 와룡산 선원공원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유족들이 헌화를 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대한민국 3대 미제 사건으로 일컬어지는 '개구리소년 변사사건'에 대한 현직 기자의 추적 스토리가 책으로 나왔다.

'32만 명'이라는 전대미문의 경찰력이 동원됐지만 결국 미제 사건으로 남은 이 사건은 아직도 많은 사람에게 아픔과 안타까움으로 다가온다.

개구리 소년 변사사건은 1991년 3월 26일 대구 성서초교 학생 다섯 명이 도롱뇽알과 탄피를 줍기 위해 집을 나섰다가 실종된 지 11년 6개월 만인 2002년 9월 26일 마을 인근 와룡산 중턱에서 유골로 발견된 사건이다.

논란 끝에 경북대 법의학팀이 사인을 타살로 발표했으나 범인 검거는 고사하고 범행 도구조차 특정하지 못했다. 결국 2006년 3월 25일 자로 공소시효가 만료됨에 따라 미제사건으로 남았다.

지은이는 국민일보 대구경북본부장으로 근무하는 김재산 기자다. 그는 대구경찰청을 출입하던 사건 발생 당시부터 달서경찰서는 물론, 아이들이 살던 마을과 학교, 와룡산 등 현장을 뛰어다니며 취재를 시작했다.

지은이는 사건 발생 초기 경찰이 '집단 가출한 아이들은 앵벌이 조직의 일원으로 생활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서울에 대규모 형사들을 파견하자, 실종 어린이 가족과 함께 동행취재를 하기도 했다. 또, 한 범죄심리학 박사가 다섯 아이 가운데 한 명인 김종식(당시 9세) 군 아버지 김철규 씨가 아이들을 살해한 뒤 사체를 집 주변에 묻었다고 주장해 경찰이 발굴작업을 진행할 때도 직접 현장을 지켜봤다.

지은이는 아이들의 사인을 '저체온사'라고 자신있게 주장하는 퇴직 경찰관 김영규(사건 당시 대구경찰청 강력과장) 전 총경을 집중적으로 인터뷰한 것이 책을 쓰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고 밝힌다.

지은이는 최근 5년간 이 사건과 관련된 전·현직 경찰관, 법의학자, 유족 등과 만나 인터뷰를 하면서 아이들의 사인이 타살인지, 저체온사인지를 비교·분석했다. 그는 "명확한 사인을 가리기 위해서는 첨단기법을 동원한 경찰의 재수사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