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협정서 체결은 원천 무효" 구미시민 300명 정부세종청사 집회

입력 2022-04-04 16:58:44 수정 2022-04-05 07:36:13

"임기말 밀실 협약 말고 차기 지도자에 위임"…새 정부 통큰 보상 이뤄져야
구미 정치권, 시민들과 협의체 구성해 전면 재검토해야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 대구시 공동 이용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4일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독자제공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 대구시 공동 이용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4일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독자제공

4일 환경부 주관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서 체결식'이 열렸지만, 구미지역 반대 여론이 숙지지 않아 민심을 달래기 위한 새 정부의 통 큰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협정서 체결식에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불참하면서 반쪽짜리 체결식으로 전락해, 구미 정치권 등 지역 민심이 하나로 모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구미 정치권은 "정부 보상이 충분하지 않고 6·1지방선거가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임기 말 정부와 굳이 협약서를 강행 체결하는 것은 밀실 협약"이라며 "5월 새 정부가 들어서면 정부 보상안에 대해 다시 논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TX 구미역 신설 국비지원과 함께 서대구~통합신공항 구간 가운데 가칭 동구미역을 신설하는 등 사업을 정부 책임으로 확약하는 등 항구적인 약속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앞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체결된 협약 내용이 차기 정부에 계승되는 것은 물론 새 정부도 구미에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면서 "지역 정치권 역시 시·도민이 만족할 수 있는 대안을 내놓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반대를 주장하는 시민 300여 명은 4일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협정서 체결 원천무효'를 주장했다.

윤종호 구미시의회 대구취수원구미이전반대특별위원회 위원장은 "대구 취수원 구미이전 문제는 대구시와 구미시 두 지역 간의 문제가 아닌 낙동강을 취수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경상북도 전체의 문제로서 10년이 넘게 지역간 갈등을 초래했다"며 "책임감 있게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차기 지도자에게 권한을 위임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반대 집회에 참석한 이태식 예비후보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이후 새 정부의 내각 수반과 6·1 지방선거 이후 새로운 구미시장, 구미 시민들과 함께 구성된 협의 체계를 통해 전면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 대구시 공동 이용을 찬성하는 시민들이 4일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독자제공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 대구시 공동 이용을 찬성하는 시민들이 4일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독자제공

반면 해평취수장 대구시와 공동 이용을 찬성하는 해평취수원 상생구미연합회와 구미시민 200여명은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앞에서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 체결식'을 환영한다는 집회를 열었다.

김기완 해평취수원 상생구미연합회장은 "낙동강 수계기금 매년 100억원, 낙동강 국가정원 유치, 5공단 규제완화와 더불어 침체된 구미공단 활성화 등 구미 여러 가지 숙원사업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라며 "지역 상생발전 계기를 지역 정치권도 구미에 더 많은 정부 지원이 있을 수 있도록 힘을 보태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장세용 구미시장은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서 체결의 기본 방향은 상생과 협치"라며 "큰 산을 넘었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숙제들이 많이 남았다. 반대 입장을 보이는 시민들의 의견도 소중한 만큼 미흡한 부분은 앞으로 시민들의 의견을 모아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