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지방선거 공천 돌입… 국민의당 합당 문제 변수

입력 2022-04-03 17:15:07 수정 2022-04-03 20:50:20

"4월 중순 경선, 4월 말까지 공천 마무리"
국민의당 소속 당협위원장에 '가산점'

국민의힘 김행 지방선거 공천관리위원회 대변인이 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행 지방선거 공천관리위원회 대변인이 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6·1 지방선거 공천 절차에 돌입한 가운데 국민의당과의 합당 문제가 매듭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4일부터 공천 신청을 받는다.

후보자 접수, 면접, 경선, 후보 선출 수순으로 앞으로 3주 내 공천을 완료하는 게 목표다.

6·1 지방선거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국정 초반 동력을 좌우할 선거로, 당내 잡음을 최소화하고 후보자들이 일찌감치 지역표밭 다지기에 나서도록 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공천관리위원회 김행 대변인은 지난 1일 국회 브리핑에서 "4월 중순 경선을 하고 4월 말까지 공천을 마무리하겠다"면서 '신속한 공천 심사'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문제는 국민의당과의 합당 협상과 갈등 요소 등이 남아 있다는 점이다.

이준석 대표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4월 초쯤에 무리 없이 완료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국민의힘이 지방선거 공천 접수를 먼저 시작한 것이 협상 과정의 새로운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직자 고용 및 부채 승계, 지도부 구성 등의 의제에 공천권 배분 논의까지 더해지면 '협상 방정식'이 더 꼬일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양당의 합당 실무협상단이 물밑 협의를 이어가고 있으나 합당 의결을 위한 실무적 절차인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 일정도 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국민의당 내부에서는 3주라는 기간 안에 국민의힘 후보자들과 동등한 조건의 경선은 불공정한 것 아니냐는 반발도 고개를 들고 있다.

이에 공천관리위원회는 "큰 당으로서 기득권을 내려놓는 모습을 보이겠다"며 국민의당 출마자에 대해서도 최대한 배려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의당 소속 당협위원장에 대해선 '정치신인 가산점'을 주겠다는 게 대표적 사례다.

일각에서는 국민의당 소속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일괄 탈당해 국민의힘에 입당하더라도 이에 상응하는 혜택을 주는 방안도 대안으로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