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 전 대비 큰 폭 감소, 25일만의 10만명대 가능성" 오후 9시 18만3895명 확진

입력 2022-03-27 21:53:34 수정 2022-03-27 22:29:56

경기 5만174명, 서울 3만4천157명, 경남 1만1천625명, 인천 1만975명, 경북 9천391명, 전남 8천398명, 충남 7천957명, 광주 7천113명, 전북 6천964명, 강원 6천935명, 충북 5천837명, 대전 5천281명, 대구 5천139명, 부산 5천94명, 울산 3천764명, 제주 2천873명, 세종 2천218명

27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설치된 코로나19 임시선별 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31만8천130명, 하루 사망자는 282명으로 집계됐으며 위중증 환자는 1216명으로 기록됐다. 연합뉴스
27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설치된 코로나19 임시선별 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31만8천130명, 하루 사망자는 282명으로 집계됐으며 위중증 환자는 1216명으로 기록됐다. 연합뉴스

27일 오후 9시 기준으로 전국에서는 18만3천895명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진자가 집계됐다.

이는 전날인 26일 오후 9시까지 집계된 31만49명 대비 12만6천154명 줄어든 규모이다.

물론 이같은 큰 폭의 하락은 토요일까지 이어지는 주중 확산세와 비교, 일·월요일에는 주말효과가 반영되는 것을 감안하면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따라서 같은 일요일 같은 시각 집계와 비교해 추이를 따져볼 수 있는데, 1주 전과 2주 전 일요일 오후 9시 집계 대비 확산세가 도드라지게 떨어진 모습이 확인된다.

오늘 현재까지 집계된 18만3천895명은 1주 전 같은 일요일이었던 20일 같은 시각 집계 20만4054명에 비해 2만159명, 2주 전 같은 일요일이었던 13일 동시간대 집계 30만1천544명에 비해서는 11만7천649명 감소한 규모이다.

2주 전은 역대 최다 일일 확진자 기록(3월 16일 62만1천281명)이 나오는 등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 확산세가 정점을 찍은 시기인데, 이때에 비해 유행 상황이 완화한 모습이 보여지고 있는 것.

최근 한 주, 즉 3월 20~26일 치 전국 일일 확진자 수는 이렇다.

20만9천137명(3월 20일)→35만3천911명(3월 21일)→49만821명(3월 22일)→39만5천568명(3월 23일)→33만9천514명(3월 24일)→33만5천580명(3월 25일)→31만8천130명(3월 26일).

이어 3월 27일 치는 전일 대비 12만여명 줄어든 집계 추이 및 전날의 경우 오후 9시부터 자정까지 8천81명 추가된 것을 감안, 20만명 안팎 기록이 예상된다.

또는 최종 20만명 아래, 즉 10만명대 기록이 나올 수도 있다.

이 경우 지난 3월 2일 19만8803명 기록이 나온 후 23일 만의 10만명대 기록이 작성된다. 3월 16일 62만1천281명으로 최고 치를 기록했던 걸 감안하면, 이번 3월 중 전에 없던 큰 폭의 상승과 하락이 나타났던 셈이다.

다만 유행 상황 자체가 꺾였는지 여부는 주말효과가 나타나는 일·월요일을 지나 주말효과가 사라지는 매주 첫 날인 화요일(3월 29일) 최종 결과를 따져봐야 한다. 1주 전 화요일인 3월 22일 결과인 49만821명 또는 이후 주중 지속된 30만명대 확산세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오는 게 중요하다.

방역당국과 전문가들은 지난 1월 말부터 본격화 한 오미크론 유행에 대해 감소세 판단을 내린 상황이다. 지난 25일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은 같은 날 브리핑에서 "확진자 발생은 유행 정점을 지나 완만하게 감소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4월에도 당분간 20만~40만명대 일일 확진자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이날 오후 9시 기준 지역별 신규 확진자 수는 이렇다.

경기 5만174명 ▶서울 3만4천157명 ▶경남 1만1천625명 ▶인천 1만975명 ▶경북 9천391명 ▶전남 8천398명 ▶충남 7천957명 ▶광주 7천113명 ▶전북 6천964명 ▶강원 6천935명 ▶충북 5천837명 ▶대전 5천281명 ▶대구 5천139명 ▶부산 5천94명 ▶울산 3천764명 ▶제주 2천873명 ▶세종 2천218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