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측 "靑, 집무실 이전 협조 거부 땐 통의동서 업무"

입력 2022-03-21 21:36:49 수정 2022-03-21 21:37:07

신·구 권력 재충돌 양상
"文정부 '안보 우려' 반대 뜻…尹측 "靑 개방 반드시 이행"

21일 밤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 불이 밝혀져 있다. 이날 윤석열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계획과 관련해 인수위원회와 청와대가
21일 밤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 불이 밝혀져 있다. 이날 윤석열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계획과 관련해 인수위원회와 청와대가 '이견'을 보이자 국방부는 이사 준비를 멈춘 채 최종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가 '용산 대통령 집무실' 구상에 제동을 건 것과 관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21일 문재인 대통령이 계속 협조를 거부한다면 정부 출범 직후 통의동에서 집무를 시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임기가 시작되는 5월 10일 임기가 시작될 때부터 청와대를 국민에게 개방하겠다고 약속한만큼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집무를 시작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둘러싸고 신·구 권력의 정면충돌 양상이 나타나면서 당분간 정국 급랭이 예상된다.

청와대의 집무실 이전 입장에 대해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안타깝다"면서 "윤 당선인은 어제 대통령실 용산 이전에 대해 국민께 정중하고 소상하게 말씀드렸다. 문 대통령이 가장 대표적인 정권 인수인계 업무의 필수사항에 대해 협조를 거부하신다면 강제할 방법이 없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또 "윤 당선인은 통의동에서 정부 출범 직후부터 바로 조치할 시급한 민생문제와 국정 과제를 처리해나갈 것"이라며 "5월 10일 0시 부로 윤 당선인은 청와대 완전개방 약속을 반드시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경호 문제로 인수위 사무실에서 대통령 집무 시작이 가능할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았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집무실 이전 반대는 청와대의 몽니로 보이지만, 새 정부로선 싸우지 않고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이려는 것"이라며 "국방부 청사에 가지 말라고 하면 인수위 사무실에 있으라는 이야기인데, 통의동 사무실은 방탄유리가 아니다. 경호 공백 문제는 어떻게 책임질 것이냐"고 되물었다.

한편 청와대는 21일 국방부, 합동참모본부의 갑작스런 이전으로 안보 공백을 초래할 수 있다며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관계장관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며 "새 정부 출범까지 얼마 남지않은 촉박한 시일 안에 국방부, 합참,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 보좌기구, 경호처 등을 이전한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며 "한반도 안보 위기가 고조되고 있어 어느 때보다 안보역량 결집이 필요한 때에 국방부, 합참의 갑작스러운 이전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 이전이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충분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당선인 측과 인수위에 이런 우려를 전하고 필요한 협의를 충분히 거쳐 최종 입장을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청와대는 윤 당선인이 22일 열리는 국무회의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필요한 예비비 496억원을 편성해줄 것을 요구한 데 대해서도 "국무회의 상정은 어려울 것"이라면서 "협의가 잘 되면 언제든지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처리할 수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