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비대위 내홍 지속…0.73%p 석패가 독됐나

입력 2022-03-15 17:36:56 수정 2022-03-15 21:53:41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비대위원장이 15일 강원 강릉시 옥계면 산불피해 현장을 찾아 이재민을 위로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비대위원장이 15일 강원 강릉시 옥계면 산불피해 현장을 찾아 이재민을 위로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체제를 둘러싸고 내홍이 지속되고 있다. 일각에선 0.73%포인트(p) 차 석패가 민주당의 쇄신에 오히려 독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두관 의원은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금은 우리당이 반성하고 있고 혁신하겠다는 신호를 국민들께 보여줘야 한다. 그 반성의 첫 번째가 대선 패배의 책임을 묻느 것"이라며 "대선 패배에 책임을 지고 당 지도부가 총사퇴하기로 했으면 윤호중 원내대표도 당연히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김 의원은 이재명 상임고문이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이재명 역할론을 주장해오고 있다.

그는 "1천600만 지지를 확보한 이재명 고문을 지키겠다고 입당하는 10만 신규당원을 보라. 이 열기에 찬물을 끼얹을 것인가, 아니면 이 열기를 살려 지방선거에서 다시 결집해야 하는가를 생각하면 답은 자명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우상호 의원은 윤호중 비대위 체제에 힘을 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서울시장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며 "저처럼 내려놓은 사람도 필요하고, 수습의 책임을 지는 사람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통스러운 과정을 함께 이겨내야 하는 만큼, 책임 논란은 이 정도에서 그만두었으면 한다"며 "당을 어떻게 정비하고 무엇부터 새롭게 시작해야 하는지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민주당 초선 의원 모임인 '더민초'도 이날 윤호중 비대위원장에 대한 직접적인 퇴진은 요구하지 않겠지만 내부 논의를 통해 현 비대위 체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성역 없이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윤호중 비대위 체제가 출범과 동시에 내홍에 휩싸이자 0.73%p 차 석패가 당 수습에 오히려 방해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이 있는 지도부가 비대위까지 지휘하면서 뼈를 깎는 혁신의 모습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치권에선 6월 지방선거와 8월 전당대회를 겨냥한 당내 권력투쟁이 이번 내홍의 원인 중 하나로 분석한다.

정치권 관계자는 "윤호중 비대위 체제가 반발에 부딪히는 것은 윤호중 위원장이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는 데 대한 견제심리 때문이 아닌가 싶다.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도 눈치싸움이 치열한 상황"이라며 "결국 1% 포인트도 안 되는 석패가 쇄신과 혁신 대신 내부 권력 투쟁에 빠트린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