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초강력 제재 투하한 美, 러시아산 원유·가스 수입 금지

입력 2022-03-09 01:45:28 수정 2022-03-09 01:52:20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흑인 역사의 달'(Black History Month) 기념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제재 조처로 러시아산 원자재 수입을 금지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러시아산 원유와 가스의 수입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이번 조처는 EU 등 미국의 동맹국들과 긴밀한 협의를 거쳐 결정한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조처가 "미국의 독자적 행동이라면서 동맹이 동참하지 못한 것을 이해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유 수입 제한으로 미국에 피해가 있을 것이라면서도 러시아 압박이라는 목표에 다가가야 한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수출에서 원유와 가스 등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커 러시아 에너지 수입 중단은 러시아의 외화 획득 수단에 치명적 타격을 가할 조처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에너지 수급을 러시아에 기대는 형편인 유럽연합(EU) 특히, 독일, 네덜란드 등은 유럽 경제와 시민 일상에 직접적 타격을 줄 수 있다면서 반대해왔다.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시위대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얼굴 사진에 피 묻은 손바닥 자국을 찍은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시위대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얼굴 사진에 피 묻은 손바닥 자국을 찍은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반면, 미국의 수입 원유 중 러시아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다. 또 휘발유와 디젤 생산에 필요한 연료유 등 석유제품까지 포함할 경우 8%가량이다. 미국은 러시아 원유 수입 금지시 대체 원유를 확보하기 위해 베네수엘라 경제제재 완화, 핵합의(JCPOA) 타결시 이란의 원유 수출 재개, 중동의 원유 증산, 미국의 자체 증산 등을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미국의 원유 금수 조처가 국제사회의 러시아 제재에 동참한 한국에도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 역시 나오고 있다. 에너지시장 정보 제공업체 'JTD 에너지 서비스 Pte'의 존 드리스콜 수석 전략가는 블룸버그에 한국과 일본 같은 다른 미국의 동맹이 비록 취약성이 커지긴 하겠지만 미국의 수출 금지를 뒤따를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