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선 여론조사에서 엎치락뒤치락한 후보 지지율과 달리 일관(一貫)한 흐름이 있다. 정권교체 여론이 정권재창출 여론을 줄곧 앞선 것이다. 정권교체 여론이 60%를 넘은 적도 있다.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時代精神)이 정권교체라는 주장이 설득력(說得力)을 얻은 것은 이 때문이다.
정권교체 여론을 폭발(暴發)시킨 장본인은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이다. 부동산 폭등을 비롯한 총체적인 국정 실패에다 조국 사태 등 내로남불로 상징되는 문재인 정권의 위선과 오만에 분노한 민심(民心)이 정권교체 열망(熱望)으로 분출됐다. 정권교체를 바라는 민심이 정치 경험이 전무(全無)한 문 정권 검찰총장을 제1야당 대선 후보로 밀어 올렸다. 윤석열·안철수 단일화의 원동력도 정권교체였다.
정권교체 여론이 워낙 강고(強固)해 선거 판세가 불리하게 돌아가자 이재명 후보와 민주당이 들고나온 것이 정치교체다. 이 후보가 언급한 정치개혁안을 민주당은 휴일 밤 의원총회를 소집해 당론으로 채택하는 등 정치교체 여론을 확산하려 안간힘을 썼다.
이 후보와 민주당의 노림수는 뻔하다. 정치교체로 정권교체 여론을 어떻게든 누그러뜨려 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급조(急造)된 것이어서 이 후보와 민주당의 진정성은 원천적으로 의심받았다. 대선에 임박해 정치교체를 들고나온 것 자체가 정략적(政略的)이다. 민주당이 의원 결의문에서 안철수·심상정·김동연 후보를 거명하며 "함께하자"고 한 것은 대선용 쇼임을 고백한 것에 다름 아니다.
정치교체의 대상인 민주당이 정치교체를 들먹이는 것은 난센스(nonsense)다. 2020년 4·15 총선 압승 후 민주당은 임대차 3법 강행 처리 등 입법 폭주를 일삼았다. 눈앞의 유·불리에 당헌도 걷어차고 허언(虛言)을 반복했다. 180석에 이르는 힘을 정치교체에 쓰기는커녕 입법 폭주하는 데 악용(惡用)했다. 독재 비판까지 들을 정도로 문 정권은 입법·사법·행정 권력을 맘껏 휘둘렀다. 온갖 횡포를 부리다가 정권교체 민심으로 선거에서 불리해지자 정치교체를 들고 나온 것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이다.
민주당 한 의원 말처럼 정권교체가 만능(萬能)이 아닐 수 있다. 정권을 바꾸면 세상이 갑자기 다 좋아지는 것도 아닐 것이다. 하지만 나라와 국민의 삶을 회복이 어려운 수준으로 추락시킨 정권이 더 이상 유지되는 것을 대다수 국민이 거부(拒否)하고 있다. 문 정권을 계승한 정권에 의해 나라가 훨씬 더 어려운 상황으로 굴러떨어지는 것도 국민이 용납(容納)하지 않고 있다. 이런 연유로 정권교체가 이번 대선의 대의(大義)가 된 것이다.
제대로 국가를 운영하지 못한 정권은 국민 심판을 받아 교체가 되는 것이 순리(順理)다. 국민을 가재·붕어·개구리로 취급한 정권에 계속 정권을 맡긴다면 '가붕개' 신세를 면하기 어렵다. 지금은 국민이 회초리를 들어야 할 때다.
대한민국 건국 후 우리 국민은 역사의 고비마다 현명한 선택을 했다. 그 덕분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단기간에 성취한 세계에서 유일무이(唯一無二)한 나라가 됐다. 선거에서도 국민은 실패한 정권에 대해서는 표로 심판하고, 성공한 정권에 대해서는 더 힘을 실어줬다. 정권교체가 대의가 된 이번 대선 역시 국민은 올바른 선택을 할 것으로 믿는다. 우리 국민이 다시 한번 저력(底力)을 발휘할 것을 확신한다. 선거 다음 날인 3월 10일 아침, 이 나라에 희망으로 빛나는 태양이 떠오를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